대표 질환

Medication-induced tremor (약물 유발 떨림)
항우울제, 기관지확장제, 항경련제 등 약물 부작용으로 발생
Parkinson disease (파킨슨병)
휴식 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pill-rolling tremor’
Cerebellar dysfunction (소뇌기능 이상)
소뇌 손상 시 목표 동작 시 심해지는 의도진전(intention tremor)
Essential tremor (본태떨림)
가족력 흔하며, 손·머리 떨림이 운동 시 두드러짐
Physiologic tremor (생리적 떨림)
정상인에서도 피로, 카페인, 불안 시 나타나는 미세한 떨림

접근 개요

떨림은 상지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며, 불수의적·리듬성·진동성 움직임을 말합니다. 약물 유발 → 안정 시 떨림 여부 → 소뇌 징후 여부 → 본태/생리적 떨림 순으로 접근합니다.

  • ① Hx./PE: 떨림 양상, 악화/완화 요인, 가족력, 약물력 확인
  • ② 약물 유발성 여부 먼저 감별
  • ③ Rest tremor 유무 평가
  • ④ 소뇌 징후·기타 신경학적 소견 확인
  • ⑤ 원인별 표적 검사 및 치료

약물 유발 떨림

약물 복용력을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떨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약물
    • Lithium
    • Valproic acid
    • Amiodarone
    • β-agonist
    • Antipsychotics

Medication-induced tremor (약물 유발 떨림)

Medication-induced tremor (약물 유발 떨림)
증상: Rest tremor 또는 Action tremor 가능
Hx.: 약물 복용력
(Lithium / Valproic acid / Amiodarone / β-agonist /Antipsychotics…)
특징: 약물 중단 시 호전

안정 시 떨림(Rest tremor)

휴식 시 관찰되는 떨림은 파킨슨병 가능성이 높습니다.

Parkinson disease (파킨슨병)

Parkinson disease (파킨슨병)
증상: 한쪽 손부터 시작하는 pill-rolling tremor, 운동 완만, 보행 시 잦은 넘어짐
PE: 안정 시 떨림, 운동 시 호전, 서동(Bradykinesia), 강직(Rigidity), cogwheel sign, 마스크 얼굴, 자세 굽음

소뇌기능 이상

소뇌 병변이 있으면 운동 시·의도 시 떨림이 관찰됩니다.

Cerebellar dysfunction (소뇌기능 이상)

Cerebellar dysfunction (소뇌기능 이상)
증상: 운동 시 떨림(kinetic tremor), 목표 접근 시 악화(intention tremor)
PE: 안진(nystagmus), dysdiadochokinesia, dysmetria, 보행실조(gait ataxia)
원인: 외상, 뇌종양, 다발성경화증, 뇌졸중, 유전성 소뇌실조

본태 떨림 및 생리적 떨림

Rest tremor·소뇌징후 없을 시 본태 또는 생리적 떨림을 감별합니다.

Essential tremor (본태떨림)

Essential tremor (본태떨림)
증상: 수년간 지속되는 손 떨림, 음주 시 호전, 가족력
PE: 양측성, 운동 시·자세 유지 시 떨림 (kinetic & postural tremor), 목·음성·턱 떨림 동반 가능
치료: Propranolol, Primidone, 보툴리눔 독소, DBS

Physiologic tremor (생리적 떨림)

Enhanced physiologic tremor (강화된 생리적 떨림)
증상: 에피소드성, 카페인·스트레스·불안·갑상선항진증 등과 관련
PE: 양측성, 빠르고 미세한 kinetic/postural tremor, 목 떨림 없음, 음성 떨림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