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 가성낭종 (Pancreatic Pseudocyst)

췌장 가성낭종(Pancreatic pseudocyst)은 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 이후 췌장 주변에 형성된 액체 저류 병변으로, 진성 상피 없이 섬유조직으로 둘러싸인 낭종입니다.

췌장염 이후 4주 이상 지속되는 균일한 액체 병변으로, 감염·출혈·파열과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췌장 가성낭종 (Pancreatic Pseudocyst)
🟦 췌장 효소가 주변 조직을 자가소화하여 생긴 액체 저류가 섬유벽에 둘러싸이며 형성된 후천성 낭종입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췌장염이며, 외상이나 수술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염증으로 인한 췌장 효소 누출이 조직 괴사 및 액체 고임을 유발합니다.
🔴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
반복된 염증과 췌관 폐쇄로 인해 낭종이 형성됩니다.
🔴 복부 외상 또는 수술 후
췌관 파열로 췌액이 복강 내로 누출되어 낭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상양상

작은 낭종은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크기가 크거나 감염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복부 불편감, 식욕 저하, 구토, 감염 시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및 징후
🟨 상복부 압통 및 불쾌감
크기 증가로 인한 장기 압박 또는 염증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 식욕 저하, 조기 포만감
낭종이 위나 십이지장을 압박하여 소화불량을 유발합니다.
🟨 구토, 메스꺼움
장 폐쇄나 위 배출 지연의 결과로 발생합니다.
🟨 발열 및 전신 염증
감염된 낭종 또는 농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영상 검사를 통해 낭종의 위치와 특징을 확인하고, 감별 진단을 위해 낭종 내용물 분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
🔵 CT (Contrast-enhanced CT)
균일한 액체 음영, 얇은 벽, 췌장 주변 위치 등 전형적 소견을 확인합니다.
🔵 Ultrasound (US)
비침습적이며 추적 관찰에 유용합니다.
🔵 EUS with aspiration
낭종 내용물을 채취하여 Amylase, CEA, cytology 분석으로 감별 진단합니다.

혈액검사 소견

염증 및 췌장 효소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Amylase, Lipase 상승
췌장염이 동반된 경우 상승하며, 낭종 내 액체 Amylase도 높습니다.
🟦 WBC, CRP 상승
감염 또는 전신 염증 반응이 있을 때 상승합니다.

영상 소견

균일한 액체 병변이며, 벽은 얇고 상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 Well-defined, thin-walled fluid collection
대개 단일 병변으로, 췌장 주변에 위치하며 섬유조직 벽이 존재합니다.
🟦 Wall calcification (드물게)
만성 경과 시 벽에 석회화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치료

치료의 핵심 목표는 합병증 예방이며, 대부분은 보존적 치료로 충분합니다.

6cm 이상 또는 6주 이상 지속, 증상·감염·출혈 동반 시 중재적 치료 또는 배액을 고려합니다.

보존적 치료

증상이 없고, 크기가 작거나 감소하는 경우 추적 관찰로 충분합니다.

🔵 금식 및 정맥 수액
췌장 자극을 줄여 낭종 크기 감소를 유도합니다.
🔵 정기 CT 또는 초음파 추적
낭종의 변화, 감염 여부를 1~3개월 간격으로 확인합니다.

중재적/수술적 치료

감염, 출혈, 장기 압박 등 합병증이 있거나 자연 흡수가 어려운 경우 시행합니다.

중재/수술 치료
🔷 내시경 배액술 (EUS-guided drainage)
위 또는 십이지장에서 낭종으로 경로를 만들어 배액합니다.
🔷 경피적 배액술 (Percutaneous drainage)
피부를 통해 배액관을 삽입해 낭종 내 액체를 배출합니다.
🔷 외과적 절제 또는 배액
중재술 실패 시 시행하며, 낭종 절제 또는 Roux-en-Y cystojejunostomy 등 수행됩니다.

예후

췌장염 후 발생한 가성낭종은 대부분 자연 흡수되며, 감염이나 출혈 발생 시 예후가 나빠집니다.

예후
90% 이상은 자연 소실되며 예후 양호합니다.
감염, 파열, 출혈 발생 시 중재적 치료가 필요하며 예후가 악화됩니다.

생활 관리

췌장 기능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 금주 및 식이조절이 중요합니다.

생활 관리 수칙
🟨 절대 금주
재발성 췌장염 및 낭종 형성 예방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저지방 식이
췌장 효소 분비 자극을 줄여 회복을 돕습니다.
🟨 정기 영상검사 추적
낭종 크기, 감염 여부, 주변 장기 영향 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