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시면 이해하기 한층 편하실 것 같습니다 🙂
Table of Contents
프로트롬빈 시간 (PT, Prothrombin Time)
PT는 외인성 및 공통 응고 경로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와파린(Warfarin) 치료 모니터링이나 간 기능 평가에 활용됩니다.
| 검사 설명 |
| PT는 외인성 경로(Factor VII)와 공통 경로(Factor X, V, II, I)를 평가하는 응고 검사입니다. 간 기능 저하, 비타민 K 결핍, 항응고제 치료(Warfarin) 시 연장됩니다. |
| 🟩 정상 수치: 11~14초 (INR 0.8~1.2) |
| 🟦 감소: 일반적으로 임상적 의미 없음 |
| 🟥 증가: 와파린 복용, 간질환, 비타민 K 결핍, DIC, 항응고제 과용 |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는 내인성 및 공통 응고 경로를 평가하며, 헤파린(Heparin) 치료 모니터링이나 혈우병 등 선천성 응고인자 결핍 평가에 활용됩니다.
| 검사 설명 |
| aPTT는 내인성 경로(Factor XII, XI, IX, VIII)와 공통 경로(Factor X, V, II, I)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헤파린 치료 효과 모니터링 및 혈우병, 루푸스 항응고인자 확인에 사용됩니다. |
| 🟩 정상 수치: 25~35초 |
| 🟦 감소: 응고 항진 상태(임상적 의의는 제한적) |
| 🟥 증가: 헤파린 치료, 혈우병 A/B, 항인지질증후군, 간질환, DIC |
피브리노겐 (Fibrinogen)
피브리노겐은 혈전 형성 과정에서 피브린으로 전환되어 혈전망을 형성하는 응고 단백질이며, DIC, 간질환, 염증 반응 등을 반영합니다.
| 검사 설명 |
| 피브리노겐은 간에서 생성되며, 혈액 응고 마지막 단계에서 피브린으로 전환되어 지혈을 돕습니다. 급성기 반응물질로 염증 반응에서도 상승하며, DIC에서는 고갈될 수 있습니다. |
| 🟩 정상 수치: 200~400 mg/dL |
| 🟦 감소: DIC, 간경변, 대량 출혈, 섬유소용해 상태 |
| 🟥 증가: 급성 염증, 감염, 조직 손상, 악성 종양 |
D-이합체 (D-dimer)
D-diner는 혈전이 형성되고 분해될 때 생기는 분해산물로, 혈전 형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검사 설명 |
| D-dimer는 피브린 분해산물로,‘ ’혈전이 형성되었다가 용해되는 과정이 있었음’을 반영합니다. 혈전색전증, DIC 등의 진단에 사용되며, 음성이면 폐색전증 등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 유용합니다. |
| 🟩 정상 수치: < 0.5 μg/mL (fibrinogen equivalent units) |
| 🟦 감소: 임상적으로 의미 없음 (음성 예측력이 중요함) |
| 🟥 증가: 폐색전증(PE), 심부정맥혈전증(DVT), DIC, 외과 수술, 암, 감염, 고령 |
출혈 시간 (Bleeding Time, BT)
출혈 시간은 혈소판 기능과 모세혈관 지혈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 검사 설명 |
| 출혈 시간은 피부를 약하게 자극하여 혈소판이 출혈을 얼마나 빨리 막는지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혈소판 수는 정상이지만 기능이 저하된 경우(예: 혈소판 기능장애)나 모세혈관 취약 상태에서 연장됩니다. |
| 🟩 정상 수치: 2~7분 |
| 🟦 감소: 임상적 의의 없음 |
| 🟥 증가: 혈소판 기능장애, 혈소판 감소증, 폰빌레브란트병, 아스피린 사용 |
항트롬빈 III (Antithrombin III)
항트롬빈 III는 응고 인자를 억제하는 천연 항응고 단백질로, 결핍 시 혈전 경향이 증가합니다.
| 검사 설명 |
| 항트롬빈 III는 트롬빈과 Factor Xa 등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방지합니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 결핍 시 혈전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헤파린의 작용 기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
| 🟩 정상 수치: 80~120% |
| 🟦 감소: 선천성 결핍, DIC, 간질환, 신증후군, 항응고제 과다 사용 |
| 🟥 증가: 임상적 의의는 제한적이며 드묾 |
단백질 C (Protein C)
단백질 C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단백질로, 결핍 시 정맥 혈전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 검사 설명 |
| 단백질 C는 트롬빈에 의해 활성화되면 Factor Va와 VIIIa를 불활성화시켜 응고를 억제합니다. 선천성 결핍이나 간질환, 비타민 K 결핍 시 수치가 감소하며, 혈전성 질환 위험이 증가합니다. |
| 🟩 정상 수치: 70~140% |
| 🟦 감소: 선천성 결핍, 간질환, 와파린 복용, DIC |
| 🟥 증가: 드물며 임상적 의의는 제한적 |
단백질 S (Protein S)
단백질 S는 단백질 C의 보조 인자로 작용하는 천연 항응고 단백질로, 결핍 시 혈전 위험이 증가합니다.
| 검사 설명 |
| 단백질 S는 단백질 C가 응고 인자를 억제할 수 있도록 돕는 조절 인자입니다. 선천성 결핍 외에도 임신, 경구피임약 사용, 간질환 등에서 감소할 수 있습니다. |
| 🟩 정상 수치: 60~130% |
| 🟦 감소: 선천성 결핍, 와파린 복용, 임신, 간질환, DIC |
| 🟥 증가: 드물며 임상적 해석은 제한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