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티푸스 (Typhoid fever)

장티푸스(Typhoid fever) Salmonella typhi에 의해 발생하는 전신성 장내세균 감염 질환으로, 위장 증상과 전신 증상이 함께 나타나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살모넬라 타이피(Salmonella typhi)는 그람음성 간균이며, 장관을 통해 감염된 후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장티푸스 (Typhoid fever)
🟥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 위장관 증상과 전신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전신 감염 질환입니다.

원인

Salmonella typhi는 사람만을 숙주로 하며, 위산을 통과해 소장 점막을 침투하고 림프계, 혈류로 전파됩니다.

By Jtth – Own work, CC BY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13331826
주요 원인
🔴 Salmonella typhi
운동성이 있는 그람음성 간균이며, 장관을 통해 감염되어 전신으로 퍼집니다.
🔴 오염된 음식물 섭취
위생 상태가 불량한 지역에서 흔하며, 인간의 대변에 오염된 물/음식이 주요 감염원입니다.

임상양상

서서히 발열이 오르고, 위장관 증상이 함께 진행되며, 장미진과 간비대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설사 → 변비로 전환되며, 뎅기열과 감별이 필요한 백혈구 감소, 상대적 서맥 등 특이 증상이 동반됩니다.

증상 및 징후
🟨 설사 → 변비
초기에는 설사, 시간이 지날수록 장운동 저하로 변비로 전환됩니다.
🟨 복통
회장 말단부 침범으로 인한 지속적인 복통이 나타납니다.
🟨 상대적 서맥
고열에도 불구하고 맥박이 정상 혹은 느린 현상으로, 장티푸스의 특징적인 소견입니다.
🟨 장미진 (Rose spot)
몸통 피부에 장밋빛의 작고 평평한 발진이 나타납니다.
🟨 간비대
Salmonella가 간을 침범하여 종종 간비대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 백혈구 감소증 (Leukocytopenia)
뎅기열과 감별이 필요한 중요한 혈액학적 소견입니다.

By Armanjain011 – Own work,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40050076
By Curschmann, H. (Heinrich), 1846-1910;Osler, William, Sir, 1849-1919;Stengel, Alfred, 1868-1939 – https://www.flickr.com/photos/internetarchivebookimages/14596256557/Source book page: https://archive.org/stream/typhoidfevertyph00curs/typhoidfevertyph00curs#page/n350/mode/1up, No restrictions,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42699276

진단

혈액, 소변, 대변 순서로 배양 검사를 시행하며, 시기별로 양성률이 다릅니다.

진단 방법
🔵 혈액배양 (1주차)
초기 진단에 가장 민감하며, 발열이 시작된 첫 주에 시행합니다.
🔵 요배양 (2주차)
증상 지속 시 2주차부터 양성률이 증가합니다.
🔵 분변배양 (3주차)
회복기에 접어들면 분변에서 균이 배출되기 시작합니다.

치료

항생제를 통한 빠른 균 제거가 가장 중요하며, 내성 여부와 환자 나이, 중증도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항생제 치료

💊 Ceftriaxone (IV)
중등도~중증 환자에게 1차로 사용되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입니다.
💊 Ciprofloxacin (PO) / Ofloxacin (IV)
17세 이상 성인에게 경구 혹은 정주로 사용되며, 치료 기간은 5~7일입니다.
💊 Azithromycin (PO)
Fluoroquinolone 내성 균주 감염 시 대안으로 사용됩니다.

특수 상황

💊 만성 보균 상태 + 기저 담도 질환
담낭에서 균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쓸개절제술(cholecystectomy)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후 Ciprofloxacin 등의 항생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예후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대부분 회복되며, 치료 지연 시 장천공, 출혈, 패혈증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후
조기 진단 및 치료 시 완치율이 높고 후유증은 드뭅니다.
장천공, 장출혈 등 합병증 발생 시 예후가 나빠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