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쇼크(Shock)
조직 관류와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세포 대사 중단, 장기 손상
Shock은 장기에 충분한 혈류(organ perfusion)가 공급되지 않아 저산소증(hypoxia)과 세포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평균 동맥압(MAP)은 심박출량(Cardiac Output) × 전신혈관저항(Systemic Vascular Resistance, SVR)으로 결정되며, 이 두 요소의 이상이 Shock을 유발합니다 . Shock은 주요 장기의 손상을 초래하며,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다발성 장기 부전(MODS, Multi-Organ Dysfunction Syndrome)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목차 – [쇼크의 종류]
쇼크 (Shock)
Shock은 장기에 충분한 혈류(organ perfusion)가 공급되지 않아 저산소증(hypoxia)과 세포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평균 동맥압(MAP)은 심박출량(Cardiac Output) × 전신혈관저항(Systemic Vascular Resistance, SVR)으로 결정되며, 이 두 요소의 이상이 Shock을 유발합니다.
임상적 단서
- 저혈압(hypotension)
- 빈맥(tachycardia)
- 소변량 감소(oliguria)
- 의식 변화(altered mental status)
초기 진단에서 중요한 단서는 저혈압(hypotension)이며, 보조적으로 빈맥(tachycardia), 소변량 감소(oliguria), 의식 변화(altered mental status)가 관찰됩니다.
분류
Cold shock과 Warm shock
Shock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 Cold Shock -> Cardiac output 감소
- Cardiogenic
- Hypovolemic
- Obstructive
- Warm Shock -> Systemic vascular resistance 감소 (=Distributive shock)
- Septic
- Anaphylactic
- Neurogenic
| Cold shock |
| 🟦 Cardiac output 감소로 피부가 차갑고 clammy하게 관찰됩니다. |
| 🟦 Cardiogenic, Hypovolemic, Obstructive shock이 포함됩니다. |
| Warm shock |
| 🟧 Systemic vascular resistance 감소로 피부가 warm & flushed하게 관찰됩니다. |
| 🟧 Septic, Anaphylactic, Neurogenic shock이 포함됩니다. |
주요 유형
| 쇼크 유형 |
| 분배성 쇼크(Distributive Shock) |
| : 전신 혈관 확장으로 혈류 분배 장애 발생. |
|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
| : 순환 혈액량 부족으로 조직 관류 감소. |
|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 |
| : 심장 펌프 기능 저하로 심박출량 감소. |
| 폐쇄성 쇼크(Obstructive Shock) |
| : 혈류가 물리적으로 막히거나 방해됨. |
Cardiogenic shock
심장이 피를 충분히 짜내지 못함
심장의 펌프 기능 이상으로 cardiac output이 저하된 상태입니다.
| 심장성 쇼크 |
|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로 심박출량 감소. |
| 주요 원인: 심근경색, 급성 심부전, 판막 기능 이상. |
| Cardiogenic shock |
| 🟥 원인: Myocardial infarction, Heart failure, Valvular disease, Myocardial contusion 등 |
| 🔴 증상: Cold & clammy skin, Pulmonary edema로 인한 dyspnea 및 crackles |
| 🔴 특징: PCWP 상승, SvO2 감소 |
| 🔴 치료: Inotropes,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
Hypovolemic shock
체내를 도는 순환혈액량이 부족해짐
저혈량성 쇼크는 체액 또는 혈액의 손실로 인해 발생하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출혈성 : 외상, 위장관 출혈, 자궁 출혈 등으로 인해 혈액 손실. |
| 2. 비출혈성 : 탈수, 화상, 과도한 구토나 설사로 인해 체액 손실. |
혈액 또는 체액의 부족으로 인해 venous return과 cardiac output이 감소하는 상태입니다.
| Hypovolemic shock |
| 🟥 출혈성 : Traumatic hemorrhage(간·비장 손상, 골반/대퇴골 골절), GI bleeding, Postpartum hemorrhage, |
| 🟥 비출혈성 Severe diarrhea/vomiting, Burns(삼차 공간으로 체액 손실) |
| 🔴 증상: Cold & clammy skin, 저혈압, 빈맥 |
| 🔴 특징: PCWP 감소, SvO2 감소 |
| 🔴 치료: IV fluids, Hemorrhagic인 경우 혈액제제 수혈 |
Obstructive shock
혈류가 물리적으로 막힘
폐쇄성 쇼크는 심장 또는 주요 혈관이 물리적으로 막히거나 방해받는 상태입니다. 혈류가 mechanical하게 막혀 cardiac output이 감소합니다.
| 폐쇄성 쇼크의 대표 질환 |
| 혈류 폐쇄로 심박출량 감소. |
| 1. 폐색전증 (Pulmonary Effusion) : 폐혈관 막힘으로 혈류 차단. |
| 2. 심장압전 (Cardiac Tamponade) : 심낭에 액체 축적으로 심장의 수축 기능 저하. |
|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 기흉으로 인해 폐와 심장이 압박받는 상태. |
| Obstructive shock |
| 🟥 원인: Tension pneumothorax, Cardiac tamponade, Pulmonary embolism |
| 🔴 증상: Cold & clammy skin, 저혈압, 빈맥 |
| 🔴 특징: PCWP 상승, SvO2 감소 |
| 🔴 치료: – Needle decompression/Chest tube (tension pneumothorax) – Pericardiocentesis (tamponade) – Anticoagulation/Thrombolysis (PE) |
Distributive Shock (* Warm shock)
전신의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가 비정상적으로 분배됨
분배성 쇼크 (Distributive Shock) 는 혈관 저항 감소로 인해 혈류의 분배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로, 주요 원인 3가지가 있습니다.
| 분배성 쇼크 |
| 전신의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가 비정상적으로 분배됨 |
| 1.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 감염에 의한 전신 염증 반응으로 혈관 확장 및 투과성 증가. |
| 2. 아나필락시스 쇼크(Anaphylactic Shock) : 알레르기 반응으로 히스타민 분비와 혈관 확장, 기도 부종 발생. |
| 3. 신경성 쇼크(Neurogenic Shock) : 신경 손상으로 혈관 긴장도 소실. |
Septic shock
감염에 의한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로 vasodilation과 capillary leak 발생.
| Septic shock |
| 🔴 원인: Bacteremia, 주로 Gram-negative (LPS의 Lipid A 독성) |
| 🔴 증상: 발열/저체온, chills, warm & flushed skin, 감염 부위에 따른 증상 (예: 폐렴 → 기침, 호흡곤란, crackles) |
| 🔴 특징: Cardiac output 증가, SVR 감소, PCWP 감소, SvO2 증가 |
| 🔴 치료: IV fluids, Broad-spectrum antibiotics |
Anaphylactic shock
Type I hypersensitivity 반응으로 인한 전신적 vasodilation 및 기도 수축.
| Anaphylactic shock |
| 🔴 원인: Bee sting, 음식, 약물 알레르기 |
| 🔴 증상: Warm skin, Wheezing, Angioedema (기도 부종 위험) |
| 🔴 특징: SVR 감소, PCWP 감소, SvO2 증가 |
| 🔴 치료: IM Epinephrine (가장 중요), Airway management, IV fluids |
Neurogenic shock
Spinal cord injury나 CNS 손상으로 sympathetic tone이 소실된 상태.
| Neurogenic shock |
| 🔴 원인: Spinal cord trauma, TBI, Intracerebral hemorrhage |
| 🔴 증상: Warm skin, 저혈압, Bradycardia (다른 shock과 달리 HR 감소) |
| 🔴 특징: Cardiac output 감소, SVR 감소, PCWP 감소, SvO2 증가 |
| 🔴 치료: IV fluids, Vasopressor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