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축기 심부전 vs 이완기 심부전 (HFrEF vs HFpEF)

심부전(Heart Failure, HF)은 심장의 기능 저하로 인해 혈액을 효과적으로 펌프질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심박출량 감소의 원인에 따라 2가지로 분류합니다.

  • 수축기 심부전(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HFrEF) : Systolic Heart Failure
  • 이완기 심부전(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HFpEF) : Diastolic Heart Failure

수축기 심부전(HFrEF)좌심실 수축력 저하로 인해 심박출량(CO)이 감소하게 됩니다.

✅ 반면, 이완기 심부전 (HFpEF)는 심장 수축력은 유지되지만, 이완 기능이 저하되어 이완기 충만이 제한됩니다.

수축기 심부전 (Systolic Heart Failure, HFrEF)

좌심실의 수축 기능이 저하되어 좌심실 박출률(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이 40% 이하로 감소하는 심부전입니다.

병태 생리

병태 생리

  • 좌심실의 수축력 감소로 인해 혈액을 충분히 펌프하지 못함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 감소
    • → 신체 조직에 충분한 혈액 공급 부족
  • 보상 기전 활성화:
    • 교감신경 활성화
      • → 심박수 증가
    •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활성화
      • → 혈관 수축 및 체액 저류 증가

원인

주요 원인

  •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심근경색 후 좌심실 기능 저하
  •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DCM): 심근이 약해지고 확장됨
  • 고혈압성 심장병: 지속적인 고혈압으로 인한 좌심실 과부하
  • 심장 판막 질환: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폐쇄부전증 등
  • 독성 심근병증: 항암제, 알코올 중독 등으로 인한 심근 손상

임상적 특징

증상

  • 폐울혈로 인한 호흡곤란(Dyspnea), 기좌호흡(Orthopnea),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ND)
  • 운동 시 피로, 무기력
  • 하지부종(Peripheral Edema), 체중 증가

검사 소견

  • 좌심실 박출률(LVEF) ≤ 40%
  •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 심실벽의 얇아짐, 좌심실 확장
  • BNP/NT-proBNP 상승 → 심부전 지표
  • 심전도(ECG), 흉부 X-ray 로 확인하는 좌심실 확장 소견

Hanson D, Decompensated heart failure.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1 Mar 2025) https://doi.org/10.53347/rID-200158

치료

약물 치료

  • ACE 억제제(Enalapril, Ramipril) / ARBs(Losartan, Valsartan): 후부하 감소
  • 베타 차단제(Metoprolol, Carvedilol): 심박수 조절 및 심근 보호
  • 이뇨제(Furosemide, Spironolactone): 체액 저류 감소
  • ARNI(Sacubitril/Valsartan): 심부전 환자의 생존율 개선

기계를 통한 치료

  • 이식형 제세동기(ICD) → 심실세동 예방
  • 심장 재동기화 치료(CRT) → 좌우 심실 수축 동기화

이완기 심부전(Diastolic Heart Failure, HFpEF)

좌심실의 이완 기능이 저하되어 박출률(LVEF)이 정상(≥50%)인데도 심부전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병태 생리

병태 생리

  • 좌심실의 이완 장애로 인해 이완기 충만 불량(Diastolic Dysfunction) 발생
  • 좌심실 압력이 증가하여 폐울혈 발생
  • 정상 박출률(LVEF ≥ 50%)이지만 심박출량(CO) 감소

원인

주요 원인

  • 고혈압(Hypertension):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며 이완 장애 발생
  • 비후성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심근 비후로 인해 좌심실 이완 장애
  • 노화(Aging): 심근의 탄력성 감소
  • 심장 판막 질환: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협착증
  • 대사성 질환: 비만, 당뇨병, 신장질환

임상적 특징

주요 증상

  • 호흡곤란(Dyspnea), 운동 시 피로
  • 하지부종, 체액 저류
  • 경정맥 확장(JVD), 간비대

검사 소

  • 좌심실 박출률(LVEF ≥ 50%)
  •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좌심실 벽 비후, 이완기 충만 장애 확인
  • BNP/NT-proBNP 상승

치료

약물 치료

  • 베타 차단제(Metoprolol, Carvedilol): 심박수 조절 및 심근 산소 소모 감소
  • 이뇨제(Furosemide, Spironolactone): 체액 저류 감소
  • ARB/ARNI(Losartan, Sacubitril/Valsartan): 혈압 조절 및 심부전 개선

생활 습관 개선

  • 저염식
  • 규칙적인 운동 혈압 관리 및 비만 조절

병태생리 비교

수축기 심부전 (HFrEF)이완기 심부전 (HFpEF)
좌심실의 수축 기능이 저하되어 좌심실 박출률(LVEF)이 감소함 (LVEF < 40%)좌심실의 이완 기능이 저하되어 이완기 충만이 제한됨 (LVEF ≥ 50%)
✅ 심근의 손상(심근경색, 확장성 심근병증 등)이 주된 원인✅ 좌심실 비대(고혈압, 노화, 비후성 심근병증 등)가 주된 원인

주요 원인 비교

수축기 심부전
Systolic Heart Faliure
HFrEF
이완기 심부전
Diastolic Heart Failure
HFpEF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고혈압성 심장병(Hypertensive Heart Disease)
✅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비후성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 대동맥판 폐쇄부전(Aortic Regurgitation)✅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 빈맥성 부정맥(Tachyarrhythmia)✅ 노화로 인한 심장 탄력성 감소

주요 증상 비교

HFrEFHFpEF 모두 좌심부전 증상을 나타내지만,

HFpEF에서는 폐울혈보다는 운동 불내성이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수축기 심부전 (HFrEF)이완기 심부전 (HFpEF)
호흡곤란(Dyspnea),
기좌호흡(Orthopnea),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ND)
운동 불내성(Exercise intolerance)
피로(Fatigue)
부종(Peripheral Edema),
체중 증가
경정맥 확장(JVD),
폐성호흡음 감소

진단 검사

좌심실 박출률(LVEF) 평가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며, 심초음파를 통해 확인한다.

수축기 심부전 (HFrEF)이완기 심부전 (HFpEF)
LVEF < 40% LVEF ≥ 50%
BNP/NT-proBNP 상승: 심부전 중증도 평가BNP/NT-proBNP 상승: HFpEF에서도 마찬가지로 상승 가능

치료 비교

✅ HFrEF와 HFpEF의 치료 목표는 심부전 진행을 억제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약물 치료

수축기 심부전 (HFrEF)이완기 심부전 (HFpEF)
🚩 ACE 억제제(Enalapril, Lisinopril) / ARBs(Losartan, Valsartan): 생존율 증가🚩 혈압 조절이 핵심: ACE 억제제, ARBs, CCB 사용
베타 차단제(Metoprolol, Carvedilol): 심박수 감소 및 심장 부담 완화이뇨제(Furosemide, Hydrochlorothiazide): 부종 감소
알도스테론 길항제(Spironolactone, Eplerenone): 체액 저류 감소운동 치료: 생활습관 개선 필수

생활습관 교정

수축기 심부전 (HFrEF)이완기 심부전 (HFpEF)
🚩 저염식 유지, 체중 급증 시 즉시 병원 방문🚩 혈압 조절, 심박수 과도한 상승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