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PE)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폐혈관이 막힘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PE)

Pulmonary Embolism (PE)는 혈전(thrombus)이 폐동맥을 폐색하여 혈류 차단을 일으키는 응급 질환입니다.

✅ 주로 심부정맥 혈전증(DVT, Deep Vein Thrombosis)에서 유래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Pulmonary Embolism (PE)
✅ 폐동맥이 혈전(thrombus)으로 막혀 폐 혈류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

원인 및 위험 인자

심부정맥 혈전증 (DVT)에서 유래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PE)

Virchow’s Triad– 혈전이 잘 발생하는 상황

  • 혈전은 Virchow’s Triad(정맥혈 정체, 혈관 내피 손상, 과응고 상태)가 3가지 주요 위험 요소로 작용합니다.
thrombus, Virchow's Triad
Pulmonary Embolism 위험 인자
심부정맥 혈전증(DVT): 대부분의 폐색전증은 다리 정맥에서 유래.
장기간 부동(immobility): 장기 입원, 비행기 여행, 수술 후 회복.
외상 및 수술: 혈관 손상이 혈전 형성을 촉진.
암(Cancer): 암 환자는 과응고 상태로 인해 위험 증가.
임신 및 경구 피임약 사용: 여성 호르몬이 혈전 위험을 증가.

임상 양상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흉통, 빈맥이 주요 증상.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PE)
Pulmonary Embolism의 증상
🔶 갑작스러운 호흡곤란(Dyspnea).
🔶 흉통(pleuritic chest pain), 심할 경우 협심증과 유사.
🔶 빈맥(Tachycardia) 및 저혈압(Hypotension).
🔶 객혈(Hemoptysis).
🔶 심한 경우 쇼크 및 실신.

진단

임상 평가 후 영상검사 및 혈액검사를 통해 확진.

Pulmonary Embolism (PE)은 혈전이 폐동맥을 폐색하여 혈류 차단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영상검사, 심장 기능 검사가 필요합니다.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PE)
Pulmonary Embolism의 주요 진단 검사
☑️ D-dimer 검사: 혈전 용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PE 가능성 평가.
☑️ 흉부 CT 혈관조영술 (CTPA): 폐색전증 확진.
☑️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우심실 기능 이상 평가.
☑️ 폐환기-관류 스캔(V/Q scan):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폐혈류 평가.
☑️ 심전도(ECG): 비특이적 변화(예: S1Q3T3 패턴) 확인.

혈액검사 소견

혈전 생성 여부와 심장 부담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줌.

Pulmonary Embolism의 혈액검사
☑️ D-dimer 상승
: 혈전 용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PE 의심 시 증가.
☑️ ABGA (동맥혈 가스 분석)
: 저산소증(Hypoxemia), 저탄산혈증(Hypocapnia), 호흡성 알칼리증.
☑️ Troponin, BNP 상승
: 우심실 부담이 증가한 경우 상승 가능.

영상검사 소견

폐혈류 이상 및 혈전의 직접적인 확인을 위한 검사.

Pulmonary Embolism의 영상검사
☑️ 흉부 CT
: 폐동맥 내 혈전 확인, 진단의 표준 검사.
☑️ 폐환기-관류 스캔 (V/Q scan)
: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폐 관류 평가.
☑️ 흉부 X-ray
: 비특이적 소견 (Knuckle sign , Westermark sign, Hampton’s hump).


Abdrabou A, Pulmonary embolism.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5 Jul 2025) https://doi.org/10.53347/rID-31937
Abdrabou A, Pulmonary embolism.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5 Jul 2025) https://doi.org/10.53347/rID-31937
Cardoso O, Acute pulmonary embolism.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5 Jul 2025) https://doi.org/10.53347/rID-215018
Cardoso O, Acute pulmonary embolism.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5 Jul 2025) https://doi.org/10.53347/rID-215018


Fischer J, Pulmonary embolism with lung infarction.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5 Jul 2025) https://doi.org/10.53347/rID-12844
Fischer J, Pulmonary embolism with lung infarction.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5 Jul 2025) https://doi.org/10.53347/rID-12844

Al Salam H, Saddle pulmonary embolism.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5 Jul 2025) https://doi.org/10.53347/rID-9177

심장 및 혈류 검사 소견

우심실 기능과 혈역학적 변화를 평가.

Pulmonary Embolism의 심장 및 혈류 검사
☑️ 심초음파 (Echocardiography)
: 우심실 확장, 폐동맥압 상승.
☑️ 심전도 (ECG)
: S1Q3T3 패턴, 빈맥(Tachycardia).

유튜브에 자세하게 설명한 영상이 있어 첨부합니다 🙂

치료

응급 항응고 치료 후 혈전 용해 또는 수술적 치료 진행.

치료법

항응고제 치료

항응고제 치료
💊 Heparin: 즉각적인 항응고 효과.
💊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 초기 치료에 사용.
💊 Warfarin: 장기 항응고 치료.
💊 Direct Oral Anticoagulants (DOACs, 예: Rivaroxaban, Apixaban)
: 최근 1차 선택 치료로 사용 증가.

혈전 용해 및 수술적 치료

침습적 치료
☑️ 혈전 용해제(Thrombolytics, 예: Alteplase)
☑️ 카테터 유도 혈전 제거술(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 중증 환자에서 고려.
☑️ 폐동맥 혈전 절제술(Pulmonary embolectomy): 응급 수술.
☑️ 하대정맥 필터(IVC filter): 항응고제 금기 환자에서 사용.

폐색전증 상황별 치료

Pulmonary Embolism (PE)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안정성 여부, 혈역학적 변화, 출혈 위험)에 따라 달라집니다.

저위험군은 항응고 치료를 진행하며,

🔴 고위험군(혈역학적 불안정)은 즉각적인 혈전 용해 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혈압, 쇼크 여부)를 기준으로 치료 전략 결정.

상황별 폐색전증 치료
☑️ 혈역학적 안정(저위험군 PE): 항응고 치료 시행.
🔴 혈역학적 불안정(고위험군 PE, 쇼크 동반): 응급 혈전 용해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
🔴 항응고제 금기 환자: IVC 필터 삽입.

1. 저위험군 폐색전증 (혈역학적 안정)

혈압 유지(수축기 혈압 ≥ 90 mmHg), 쇼크 및 저산소증 없음.

저위험군 PE의 항응고 치료
💊 Heparin 또는 LMWH
: 초기 항응고 치료.
💊 Warfarin
: INR 2~3 목표, 최소 3~6개월 유지.
💊 DOACs (Rivaroxaban, Apixaban 등)
: 최근 1차 선택 약제로 사용 증가.

2. 중등도 위험군 폐색전증 (혈역학적 안정, 심기능 이상 동반)

혈역학적 안정하지만, 우심실 기능 장애(RV dysfunction) 또는 심근 손상(BNP, troponin 상승) 동반.

중등도 위험군 PE 치료
☑️ 항응고제 치료(Heparin/DOACs) 우선.
☑️ 혈전 용해제(Thrombolytics) 고려 (Alteplase 100mg IV 2시간 투여).
☑️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카테터 혈전 제거술 고려.

3. 고위험군 폐색전증 (혈역학적 불안정, 쇼크 동반)

혈압 저하(수축기 혈압 < 90 mmHg), 쇼크 또는 심한 저산소증 동반.

-> 응급 혈전 용해 치료

고위험군 PE 치료
🔴 Thrombolytics (Alteplase, Tenecteplase): 응급 IV 투여.
🔴 카테터 혈전 제거술: 혈전 용해제가 금기일 경우 고려.
🔴 응급 폐동맥 혈전 절제술(Pulmonary Embolectomy)

4. 항응고제 금기 환자

활동성 출혈, 뇌출혈 병력 등으로 항응고 치료가 어려운 경우, IVC 필터를 고려합니다.

항응고제 금기 환자의 치료
☑️ 하대정맥 필터(IVC filter) 삽입: DVT로 인한 추가 PE 예방.
☑️ 혈전 발생 원인 제거 후 항응고 치료 여부 재평가.

예후 및 예방

장기적인 항응고 치료 및 생활습관 조절을 통해 재발을 방지합니다.

PE의 예방 및 장기 관리
✅ 장기간 항응고제 복용 필요.
✅ 수술 후 조기 보행, 정기적 운동.
✅ 비행기 여행 시 다리 운동 및 수분 섭취.
✅ 압박 스타킹 사용으로 정맥 혈류 개선.

Re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