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Hypertension)은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하며, 장기적으로 혈관과 주요 장기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혈압이 상승하면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되고, 염증 반응과 혈관 재형성이 진행되면서 심장, 신장, 뇌, 눈과 같은 장기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정의와 분류

고혈압은 본태성(원발성)과 이차성으로 구분됩니다.

본태성 고혈압 (Primary Hypertension)
🟦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며 전체 환자의 약 90%를 차지합니다.
🟦 신장에서의 나트륨 배설 저하, 혈장량 증가, 말초혈관 저항 증가가 주요 기전입니다.
이차성 고혈압 (Secondary Hypertension)
🟧 특정 질환이나 약물에 의해 발생합니다.
🟧 내분비 원인: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쿠싱 증후군, 갈색세포종
🟧 신장 원인: 신동맥 협착, 만성 신질환
🟧 심혈관 원인: 대동맥 축착
🟧 약물 원인: 피임약, 코카인, MAOI 등

위험 요인

위험 요인 (Risk Factors)
✅ 연령 증가
✅ 비만
✅ 운동 부족
✅ 당뇨병
✅ 흡연
✅ 가족력
✅ 고염식
✅ 과도한 음주

본태성 고혈압의 병태생리

본태성 고혈압의 주요 기전은 신장의 나트륨 배설 저하혈관 수축

신장 기전
🟦 나트륨 배설 감소 → 혈장량 증가
🟦 혈장량 증가 → 심박출량 증가 → 수축기 혈압 상승
🟦 레닌 분비 억제로 저레닌성 고혈압 발생
혈관 기전
🟧 나트륨 축적이 말초 소동맥 수축 유발
🟧 말초혈관 저항 상승 → 이완기 혈압 증가

혈관 손상 기전

고혈압으로 인한 혈관 손상은 내피세포 기능 장애, 죽상경화증 촉진, 혈관 벽 비후 및 강성 증가, 미세혈관 손상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1. 내피세포 기능 장애 (Endothelial Dysfunction)

정의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되어 혈관 확장 기능이 저하되고, 염증 반응이 촉진되는 상태
기전
고혈압으로 인해 산화질소(NO) 생성이 감소하여 혈관 이완 기능이 저하됨
결과
혈관 수축이 지속되며 혈압 상승을 유발하는 악순환이 발생

2. 죽상경화증 촉진 (Promotion of Atherosclerosis)

정의
혈관 내 콜레스테롤과 지방(LDL)이 축적되어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
기전
고혈압으로 인해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되고, LDL 콜레스테롤이 침착됨
결과
혈관이 좁아지고 혈류가 감소하여 심근경색 및 뇌졸중 위험 증가

3. 혈관벽 비후 및 강성 증가 (Vascular Remodeling & Stiffening)

정의
혈관 벽이 두꺼워지고 탄력을 잃는 과정
기전
혈관평활근세포가 증식하고 혈관 벽이 비후되어 혈압이 더욱 상승
결과
혈관의 탄력성이 감소하여 혈압 변동이 심해지고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4. 소동맥 및 모세혈관 손상 (Microvascular Damage)

정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면서 혈류 공급이 저하되는 현상
기전
혈압 상승으로 인해 소동맥과 모세혈관이 좁아지고, 허혈이 발생
결과
신장, 뇌, 눈 등의 미세혈관 손상으로 장기 기능 저하

장기 손상

고혈압으로 인한 혈관 손상은 심장, 신장, 뇌, 눈과 같은 주요 장기에 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장
🟧 좌심실 비대
🟧 이완기 심부전
🟧 관상동맥질환
🟧 대동맥 박리
🟥 뇌졸중
🟥 지주막하 출혈
🟥 열공경색 (소혈관성 뇌경색)
신장
🟦 사구체 경화증
🟦 만성 신부전
🟨 망막 출혈 (dot, flame-shaped hemorrhage)
🟨 동정맥 교차압박 (AV nicking)
🟨 구리·은선 징후 (copper/silver wiring)

1. 심장 (Heart)

좌심실 비대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심장이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을 견디기 위해 근육이 비대해지고 기능이 저하됨
관상동맥 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CAD)
혈압 상승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심근허혈 발생 가능
심부전 (Heart Failure)
좌심실이 비대해지면서 수축 및 이완 기능이 저하되어 심부전 발생

2. 신장 (Kidney)

고혈압성 신증 (Hypertensive Nephropathy)
신장 사구체의 손상으로 인해 단백뇨가 발생하고 신장 기능이 저하됨
신동맥 협착 (Renal Artery Stenosis)
신장 혈관이 좁아지면서 신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신부전 위험 증가

3. 뇌 (Brain)

뇌졸중 (Stroke)
고혈압으로 인해 뇌혈관이 손상되면서 혈관이 막히거나 출혈이 발생
혈관성 치매 (Vascular Dementia)
만성적인 혈관 손상이 축적되면서 인지 기능 저하 발생

4. 눈 (Retina)

고혈압성 망막병증 (Hypertensive Retinopathy)
망막 혈관 손상으로 인해 시력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 실명 가능
망막 출혈 및 부종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면서 망막 내 출혈과 부종 발생

고혈압으로 인한 장기 손상의 예방

고혈압으로 인한 혈관 및 장기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생활 습관 개선
저염식, 체중 감량, 운동, 금연, 절주 등을 통한 혈압 조절
약물 치료
ACE 억제제, ARB, 칼슘 채널 차단제(CCB), 이뇨제 등의 적절한 사용
정기적인 혈압 모니터링
가정 혈압 측정 및 정기적인 병원 방문을 통한 혈압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