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화 근육염 (Myositis Ossificans)

골화 근육염(Myositis Ossificans)은 근육 손상 이후 해당 부위에 비정상적인 뼈 조직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Myositis Ossificans: 근육 손상 후 수주 내 딱딱한 덩어리가 생기며, 통증과 운동 제한을 유발합니다.

Myositis Ossificans
Heterotopic ossification of the elbow, s/p comminuted fracture and arthroplasty By I, Tdvorak,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689165
골화 근육염 (Myositis Ossificans)
🟦 외상이나 반복된 자극으로 인해 근육 내에 뼈 조직이 형성되는 상태입니다.

원인

근육 손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
🔴 직접적인 외상(Direct trauma)
타박상이나 좌상으로 출혈이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해당 부위에 골화가 진행됩니다.
🔴 반복적인 손상(Repetitive injury)
운동선수 등에서 반복적인 자극으로 인해 골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조기 마사지나 스트레칭
손상 초기부터 무리하게 자극할 경우 골화가 촉진됩니다.
🔴 수술 후 합병증
일부 정형외과 수술 후 이소성 골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임상양상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과 함께 딱딱한 종괴가 만져집니다.

환자분들은 딱딱한 덩어리, 통증, 운동 제한을 주로 호소하십니다.

증상 및 징후
🟨 딱딱한 덩어리
근육 내에서 단단한 종괴가 만져지며, 시간이 지나며 점점 더 뼈처럼 느껴집니다.
🟨 지속적인 통증 및 압통
휴식 시에도 통증이 있을 수 있고, 누르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 운동 범위 감소
해당 부위의 근육 기능이 제한되며, 관절 움직임이 줄어듭니다.
🟨 부기 및 발적
초기에는 염증과 유사한 소견이 나타나 진단이 어렵습니다.

진단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필요시 조직검사를 병행합니다.

진단 방법
🔵 X-ray 검사
3~4주 후 병변 주위로 석회화된 경계가 보이며, 중심부는 상대적으로 투명하게 관찰됩니다.
🔵 MRI 또는 CT
MRI는 초기 진단에 민감하며, 연부 조직과 골화된 부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조직 검사
골육종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 검사를 통해 확진합니다.

영상소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심은 투명하고 주변은 석회화된 타원형 병변이 관찰됩니다.

영상 소견
🔵 주변이 고밀도로 석회화된 타원형 병변
성숙기에 중심보다 주변부가 더 단단하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

치료의 핵심 목표는 증상을 조절하고 병변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급성기에는 보존적 치료를 우선하며, 성숙 후에도 증상이 남는 경우 수술을 고려합니다.

보존적 치료

대부분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보존적 치료
🔵 RICE 요법
안정(Rest), 얼음찜질(Ice), 압박(Compression), 거상(Elevation)을 통해 염증을 줄입니다.
🔵 물리치료 제한
초기에는 스트레칭과 마사지 등 자극을 피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

염증 조절 및 골화 억제를 위해 항염증제를 사용합니다.

약물 치료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염증 반응을 줄이고 골화 형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예: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수술 치료

병변이 성숙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
🔷 이소성 골화 제거술
병변이 성숙한 이후 절제하며, 조기 수술은 재발 가능성이 높아 피해야 합니다.

예후

대부분 경과가 양호하며, 기능 회복이 가능합니다.

예후
🟧 6~12개월 이내 병변이 안정화되며 일부는 흡수됩니다.
🟧 치료가 지연될 경우 관절 운동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생활 관리

외상 직후의 초기 대응이 예후를 좌우합니다.

생활 관리 수칙
🟨 초기 자극 피하기
손상 직후에는 마사지나 온찜질, 스트레칭을 피해야 합니다.
🟨 경과 관찰
단단한 종괴가 만져질 경우 영상 검사를 통해 경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 재활 시기 조절
통증이 호전된 후 천천히 재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