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

위궤양 (Gastric Ulcer)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위궤양의 정의

위궤양
위궤양
위점막이 손상되어 궤양(ulcer)이 생긴 상태로, 주로 위산과 펩신에 의해 점막이 침식되어 발생함. 점막 보호 기전과 공격 기전의 균형이 깨질 때 발생.

임상양상

명치 부위 통증(주로 식후 1~2시간 후에 나타남).
속쓰림, 소화불량, 메스꺼움, 구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음.
– 심한 경우 토혈(출혈로 인한 위 내용물 구토) 또는 흑색변이 나타날 수 있음.

원인/위험요인

주된 원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사용.
흡연: 점막 보호 기전 약화.
과도한 음주: 점막 손상 유발.
스트레스: 위산 분비 증가.

진단/검사

위내시경: 궤양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하며, 출혈 여부를 평가.
헬리코박터 감염 검사: 요소호기검사(Urea breath test), 혈액 검사, 대변 항원 검사.
– 조직검사: 궤양 주변 조직에서 암 가능성을 배제.

치료

위궤양 치료는 헬리코박터 감염의 박멸과 위산 분비 억제를 목표로 함. 생활습관 교정도 중요함.

약물 치료

(1) 프로톤 펌프 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하여 위 점막의 치유를 돕는 약물

  • 오메프라졸(Omeprazole), 에소메프라졸(Esomeprazole), 판토프라졸(Pantoprazole).
  • 복용 방법
    : 보통 식전 30분에 복용. 장기 복용 시 저마그네슘혈증, 골다공증 등 부작용 주의 필요.

(2) H2 차단제 (H2 receptor blockers)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 PPI의 대체 약물로 사용 가능

  • 라니티딘(Ranitidine), 파모티딘(Famotidine).
  • 주의: 장기 복용 시 효과 감소(내성).

(3) 제산제 (Antacids)

위산을 즉각 중화하여 속쓰림 증상을 완화

  •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agnesium hydroxide).
  • 주의: 장기간 복용 시 변비 또는 설사 가능.

(4)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감염시 제균 치료

3제 요법

: PPI와 2가지 항생제를 병용

  1. PPI: 에소메프라졸(Esomeprazole), 오메프라졸(Omeprazole) 등 – 위산 분비 억제.
  2. 아목시실린(Amoxicillin):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박멸.
  3. 클라리트로마이신(Clarithromycin):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 증식 억제

4제요법

: 클라리트로마이신 내성 또는 3제 요법 실패 시 사용되는 대체 요법.
PPI와 3가지 약물을 병용

  1. PPI: 위산 분비 억제.
  2. 비스무스(Bismuth): 점막 보호와 항균 작용.
  3.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혐기성 세균 제거.
  4.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 증식 억제

시술

내시경적 지혈술: 출혈성 궤양의 경우, 내시경을 통해 출혈 부위를 지혈.

예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성공적으로 치료되고, 위산 억제 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질 경우 예후가 좋음.

하지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출혈, 천공, 위암 등 합병증 위험 증가.

진료 시 주의사항

– NSAIDs 사용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 흡연과 음주를 삼가며, 규칙적인 식습관 유지.
– 치료 중 증상 악화 시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도록 권고

Re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