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pamine D2 수용체 길항제 (D2 Receptor Antagonists)
도파민 D2 수용체 길항제 (D2 Receptor Antagonists)는 도파민 작용을 억제하여 다양한 장기계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군입니다. 특히 소화기계(위장운동 촉진)와 정신과적 질환(항정신병 치료)에 사용됩니다.

뇌와 말초 신경계에서 도파민은 D1~D5 수용체를 통해 작용합니다. 이 중 D2 수용체는 뇌의 중추 신경계뿐 아니라 위장관 신경계(enteric nervous system)에도 존재하며, 운동 조절, 정신 증상 조절, 오심/구토 조절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D2 수용체 길항제는 이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도파민의 효과를 억제하여
(1) 위장운동 촉진제 (Prokinetics) / (2) 항정신병약물 (Antipsychotics)로 사용합니다.
소화기계: 위장운동 촉진제 (Prokinetics)
소화기에서: D2 차단을 통해 위장관에서 아세틸콜린 방출을 증가시켜 위장운동을 촉진하는 약물로 쓰입니다.
대표 약물
대표 약물 |
💊 메토클로프라미드 (Metoclopramide) |
💊 도므페리돈 (Domperidone) |
작용 기전
작용 기전 |
🟦 D2 수용체 차단 → 위장 신경에서 아세틸콜린 방출 ⬆ → 연동운동 증가 |
🟦 CTZ(구토중추)의 D2 차단 → 항구토 효과 |
적응증
적응증 |
🟨 당뇨병성 위마비, 기능성 소화불량 |
🟨 항암제 유발 오심/구토 |
🟨 수술 후 위장운동 저하 |
효과
효과 |
🟦 위 배출 시간 단축 및 오심/구토 완화 |
🟦 식도 괄약근 압력 증가 → 역류성 식도염 보조 효과 |
부작용 및 금기
부작용 |
🟥 추체외로계 부작용(EPS) – 메토클로프라미드에서 흔함 |
🟥 고프로락틴혈증 – 유즙 분비, 무월경 |
금기 |
🔴 파킨슨병(★), 장폐색, 출혈성 소화성 궤양 |
추체외로부작용 (EPS)
- (1) 추체외로계(Extrapyramidal system)는 뇌의 기저핵(basal ganglia)을 중심으로 하는 운동 조절 회로입니다.
- (2) 도파민(Dopamine)은 이 경로에서 흥분성 및 억제성 회로를 균형 있게 조절합니다. 주로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움직임(자세 유지, 근육 긴장, 평형 등)을 조절합니다.
- (3)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제가 이 경로를 차단하면 다음과 같은 운동 장애가 발생합니다

정신과: 항정신병 약물 (Antipsychotics)
정신과에서 :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등에서 망상, 환각 등 양성 증상을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 약물
대표 약물 |
💊 할로페리돌 (Haloperidol) |
💊 클로르프로마진 (Chlorpromazine) |
💊 리스페리돈 (Risperidone), 올란자핀 (Olanzapine) – 비정형 항정신병제 |
작용 기전
작용 기전 |
🟧 중추 D2 수용체 차단 → 도파민 신경 전달 억제 → 망상·환각 감소 |
🟧 일부는 5-HT2A 수용체 차단도 병행 (비정형 약물) |
적응증
적응증 |
🟨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정신운동초조(agitation) |
🟨 틱장애, 투렛 증후군 (Haloperidol) |
효과
효과 |
🟦 양성 증상(망상, 환각) 개선 |
🟦 일부 약물은 기분 조절 및 불안 완화에도 효과 |
부작용 및 금기
부작용 |
🟥 추체외로 증상(EPS), 지연성 운동장애(tardive dyskinesia) |
🟥 고프로락틴혈증, 체중 증가, 당뇨 유발 (특히 비정형) |
🟥 심한 경우 악성 신경이완 증후군(NMS) |
금기 |
🔴 고령자에서 치매 관련 정신병에 사용 시 사망률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