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심폐소생술(CPR)은 심장이나 호흡이 멈춘 사람에게 인공적인 순환과 산소 공급을 제공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심정지 발생 후 수분 내에 적절한 처치를 시작해야 뇌 손상과 사망을 막을 수 있습니다.
언제 시행하는가?
CPR은 심정지가 의심될 때 즉시 시행해야 하며, 판단은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심정지 확인
의식, 호흡, 맥박의 유무를 신속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① 무반응 +② 무호흡 또는 심정지 호흡 + ③ 무맥박에 해당하는 경우 바로 CPR을 시행합니다.

① 무반응 +② 무호흡 또는 심정지 호흡 + ③ 무맥박 |
① 환자를 어깨를 두드리며 크게 말해도 반응이 없고, |
②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호흡(심정지 호흡)이 있으며, |
③ 10초 이내에 맥박이 느껴지지 않을 경우 심정지로 간주하고 CPR을 시작해야 합니다. |
소아/ 영아에서 심정지 확인
🟦 소아 (1세~사춘기 전) |
어깨를 두드리며 반응을 확인합니다. |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일 경우 심정지를 의심합니다. |
10초 이내에 경동맥 또는 대퇴동맥에서 맥박을 확인하고, 맥박이 없거나 분당 60회 미만이며 말초 관류가 저하된 경우 CPR을 시작합니다. |
🟧 영아 (생후 1개월~12개월) |
발바닥을 가볍게 자극하여 반응을 확인합니다. |
호흡이 없거나 이상할 경우 심정지를 의심합니다. |
10초 이내에 상완동맥에서 맥박을 확인하고, 맥박이 없거나 60회 미만이면서 관류 저하가 있을 경우 CPR을 시작합니다. |
심정지 호흡 (Agonal respiration)
심정지 상태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 호흡
심정지 상태에서도 가끔 나타나는 비정상적 호흡으로, 실제 호흡으로 간주하지 않아야 합니다. (실질적인 호흡이 아님!)
짧고 헐떡이며 불규칙한 호흡 |
심정지 직후 나타날 수 있는 비정상적 호흡입니다. 짧고 헐떡이며 불규칙한 양상을 보이고, 숨을 들이쉬는 듯한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
정상호흡이 아닙니다. 심정지로 판단하고 바로 가슴압박을 시작해야 합니다. |
시행 단계
심정지로 판단되면 지체 없이 CPR을 시작합니다.
심폐소생술은
Compression – Airway -Breathing 순으로 진행됩니다.
성인 기준
- 가슴압박 (30회)
- 기도 유지
- 인공 호흡 (2회)

1. 가슴 압박 (Chest Compression)
가슴 압박을 통해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뇌와 심장으로 보냅니다.

위치: 복장뼈 아래쪽 1/2, 속도: 분당 100~120회 |
환자의 가슴 중앙, 양쪽 젖꼭지를 연결한 선의 중앙부 복장뼈(sternum)에 두 손을 포개고 팔을 곧게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 압박합니다. |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성인 기준으로 약 5~6cm 깊이로 압박합니다. 충분히 이완되는 시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
압박이 멈추면 심장과 뇌로의 산소공급이 중단되므로, 가능한 한 압박 중단 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소아 / 영아의 경우
🟦 소아 |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복장뼈 중앙을 압박합니다 (체격에 따라 선택). |
분당 100~120회 속도, 깊이는 약 5cm 또는 흉부 전후직경의 1/3입니다. |
1인 구조자는 30:2, 2인 구조자는 15:2로 시행합니다. |
🟧 영아 |
두 엄지손가락(2인 구조자) 또는 두 손가락(1인 구조자)으로 복장뼈 중앙을 압박합니다. |
분당 100~120회 속도, 깊이는 흉부 전후직경의 1/3, 약 4cm입니다. |
1인 구조자는 30:2, 2인 구조자는 15:2로 시행합니다. |

2. 기도 유지: Head-tilt, Chin-lift
기도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산소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기도를 열어줘야 합니다.

Head-tilt & Chin-lift |
1. 한 손은 환자의 이마에 대고 머리를 뒤로 젖힙니다 (Head-tilt). |
2. 다른 손은 턱끝을 들어 올려 아래턱을 위로 밀어줍니다 (Chin-lift). |
혀가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가 폐로 들어가게 도와줍니다. |
소아 / 영아의 경우
🟦 소아 |
Head-tilt, Chin-lift 시행 시 과도한 신전을 피하고, 적절하게 턱을 들어올립니다. |
🟧 영아 |
머리와 목을 중간 자세(sniffing position)로 유지하며, 턱만 살짝 들어올립니다. |
Jaw-thrust (경추 손상 의심시)
경추 손상이 의심되는 외상 환자에선 Jaw -thrust 기법을 시행합니다. Head-tilt, Chin-lift 대신 사용하는 기도 개방 기법입니다.

Jaw-thrust |
1. 환자의 머리 양옆에 손을 위치시킵니다. |
2. 양 손의 검지와 중지를 턱뼈의 각(jaw angle)에 대고 턱을 위쪽으로 밀어올립니다. |
3. 엄지손가락으로 입을 벌려 기도가 열리도록 합니다. |
4. 머리나 목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턱만 들어올립니다. |
3. 인공 호흡 (Mouth-to-mouth ventilation)
가슴압박과 병행하여 산소를 공급합니다. 코를 막고 입과 입을 밀착해 숨을 불어넣습니다.

🟩 가슴압박 30회 후 인공호흡 2회 |
기도 확보 후 환자의 코를 막고 입과 입을 밀착하여 1초간 2회 숨을 불어넣습니다. 가슴이 부풀어 오르면 성공입니다. |
과도한 숨은 위 팽창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만 주입합니다. |
소아/ 영아의 경우
🟦 소아 |
입과 입을 밀착시켜 1초간 부드럽게 불어넣으며 가슴 상승을 확인합니다. |
🟧 영아 |
입으로 영아의 입과 코를 모두 덮고 1초간 숨을 불어넣습니다. |
작은 양으로 가슴이 살짝 부풀 정도만 주입해야 합니다. |
Resource
- Cardiac compression Video by Bangkok Hospital PhuketSegment extracted and converted by Mikael Häggström – การช่วยฟื้นคืนชีพ CPR on Youtube, with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se, CC BY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69371818
- Rib cage Illustration by Servier Medical Art , Licensed under CC BY 4.0 (https://smart.servier.com/)
- Airway Illustration By Original: Vassia Atanassova Vector: Offnfopt – Own work based on: Tongue-blocking-airways.png,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51864393
- Mouth to Mouth Resucitation Image by Rama – Own work, CeCILL,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43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