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은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조직과 장기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심장의 펌프 기능이 약해지면 혈액이 정체되면서 폐와 말초 조직에 울혈(Congestion)이 발생하게 됩니다.
울혈(Congestion)의 개념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하지 못하고 정체됨.

- 교통 정체를 Traffic Congestion이라고 합니다. 빗대어 이해하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울혈은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지 못하고 정맥이나 모세혈관망에 정체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 좌심부전이 발생하면 폐정맥이 정체되어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이 발생하고
- 🚩 우심부전이 발생하면 전신 정맥이 정체되어 말초울혈(Systemic Congestion)이 나타납니다.
원인
| 울혈성 심부전의 주요 원인 |
| 🚩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 펌프 기능 저하 |
| ✅ 고혈압성 심장병: 만성적인 후부하 증가로 좌심실 비대 및 기능 저하 |
| ✅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비대성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
| ✅ 판막질환: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등 |
임상 소견
✅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은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으로 구분됩니다.


| 임상 소견 |
| 🚩 좌심부전: 호흡곤란(Dyspnea), 기좌호흡(Orthopnea),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ND) |
| ✅ 우심부전: 하지부종(Peripheral edema), 경정맥 확장(JVD), 간비대(Hepatomegaly) |
진단 검사
✅ 울혈성 심부전은 심초음파(Echocardiography)를 이용한 좌심실 박출률(LVEF) 평가로 확진합니다.
| 주요 진단 검사 |
| 🚩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LVEF 평가 |
| ✅ BNP/NT-proBNP 상승: 심부전 존재 평가 |
| ✅ 흉부 X-ray: 심비대, 폐울혈, 폐부종 확인 |
| ✅ 심전도(ECG): 허혈성 변화, 심실비대 확인 |
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 N-terminal proBNP (NT-proBNP)의 상승
- 심장의 용적 과부하와 벽 긴장 증가로 인해 분비됨.
- CHF 진단과 중증도 평가에 유용.
- BNP > 100 pg/mL, NT-proBNP > 300 pg/mL이면 CHF 가능성 높음.
흉부 X-ray (Chest X-ray, CXR)
- 심비대 (Cardiomegaly, 심흉비 >50%)
- 폐울혈 (Pulmonary Congestion): 폐혈관 확장, 폐부종
- Kerley B lines: 폐간질 부종을 시사하는 선상 음영
- Batwing appearance: 폐부종 진행 시 양측 폐문 주변으로 음영 증가
- Pleural effusion (흉막삼출): CHF 진행 시 늑막 삼출 발생 가능

Image by Vélez Parra G, Congestive heart failure.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11 Mar 2025) https://doi.org/10.53347/rID-195330
심장초음파 (Echocardiography, ECHO)
- 좌심실 수축 기능 저하 (좌심실 구혈률 LVEF 감소, 정상 50~70%)
- 좌심실 비대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 이완기 기능 장애 (Diastolic Dysfunction)
- 심장 판막 질환 여부 확인 가능
흉부 CT (Chest CT)

- 심비대
- Pulmonary Artery Trunk의 Dilation
심장 MRI (Cardiac MRI)

- 심근 섬유화 및 심근염 감별
- 심근 경색 후 손상 부위 평가
심근 핵의학 검사 (Myocardial Perfusion Scan, MPS)
- 관상동맥 질환 여부 확인
- 심근 혈류 저하 및 허혈 영역 평가
우심도자술 (Right Heart Catheterization)
- 심박출량(Cardiac Output) 감소
- 폐동맥압(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PCWP) 상승
치료
✅ 울혈성 심부전 치료는 생활 습관 교정, 약물 치료, 필요 시 기계적 보조 및 수술 치료로 구성됩니다.
약물 치료
| 울혈성 심부전 치료 약물 |
| 🚩 ACE 억제제(Enalapril, Lisinopril) / ARBs(Losartan, Valsartan): 생존율 증가 |
| ✅ 베타 차단제(Metoprolol, Carvedilol): 심박수 감소 |
| ✅ 알도스테론 길항제(Spironolactone, Eplerenone): 체액 저류 감소 |
| ✅ 이뇨제(Furosemide, Hydrochlorothiazide): 부종 감소 |
관련 주의사항
|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주의사항 |
| 🚩 체중 변화 모니터링: 체중 급증 시 의사 상담 |
| ✅ 저염식, 규칙적인 운동, 금연, 절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