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Beta blockers)

베타차단제 (Beta blockers)는 심박수와 심근 수축력을 낮추어 심장 부담을 줄이고, 혈압을 감소시키는 약물군입니다.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심부전, 심근경색 후 예방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에 사용됩니다.

작용 기전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s)베타수용체를 차단하여 심박수 감소, 심근 수축력 저하, 레닌 분비 억제를 통해 혈압과 심장 부담을 감소시킵니다.

MOA of Beta blockers
Mechanism of action for beta blockers.png By Mogsan1 – Own work,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9478745
🟦 β1 수용체 차단 → 심박수 감소, 심근 수축력 감소 → 심장 산소 소비 감소
🟦 β2 수용체 차단 → 일부 약물은 말초혈관 수축, 기관지 수축 유발 가능
🟦 레닌 분비 억제 → RAAS 억제 → 혈압 강하
🟦 심장 전기전도 속도 감소 → 부정맥 조절

Beta blockers의 약물군

베타 차단제는 심장과 혈관에 작용하여 심박수, 심근 수축력, 혈압을 낮추는 약물로 고혈압,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 갑상선항진, 불안장애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됩니다. 베타 수용체의 선택성에 따라 여러 계열로 나뉘며, 각각의 적응증과 금기가 다릅니다.

Non-selective beta blockers

β1과 β2 수용체를 모두 차단하여 심장과 기관지에 동시에 작용합니다.

🟦 기전: β1 + β2 수용체 모두 억제 → 심박수 감소 + 기관지 수축
🟦 대표 약물: Propranolol, Nadolol, Timolol
🟦 특징: 갑상선항진, 편두통 예방에도 사용됨
⚠️ 주의사항: 운동 유발성 천식 환자 주의 (β2 차단)
금기: 천식, COPD, 서맥, 심한 말초혈관질환

β1-selective blockers (Cardioselective)

심장에 주로 작용하여 폐와 말초 혈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베타차단제입니다.

🟩 기전: β1 수용체 선택적 차단 →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 감소
🟩 대표 약물: Atenolol, Metoprolol, Bisoprolol, Esmolol
🟩 특징: 고혈압, 협심증, 심부전(선택된 약물), 급성 부정맥 치료에 사용
⚠️ 주의사항: 고용량 시 선택성 상실 가능 → 폐 질환 환자 주의
금기: 서맥, 고도 방실차단, 급성 심부전

Mixed α/β blockers

β 차단 효과와 함께 α1 차단 작용을 통해 혈관확장 효과도 갖는 약물입니다.

🟨 기전: β1 + β2 + α1 수용체 차단 → 심박수↓ + 혈관이완
🟨 대표 약물: Carvedilol, Labetalol
🟨 특징: 심부전, 고혈압 위기, 임신성 고혈압(라베타롤)에서 유용
⚠️ 주의사항: 기립성 저혈압, 어지러움 가능
금기: 천식, 서맥, 심한 심부전, 간부전 (Carvedilol)

β blockers with intrinsic sympathomimetic activity (ISA)

부분적 작용을 지녀 심박수 과도한 감소를 막는 특성이 있습니다. 서맥 위험이 있는 환자에 유용합니다.

🟪 기전: β 수용체 차단 + 약한 자극 효과 (부분 효능)
🟪 대표 약물: Pindolol, Acebutolol
🟪 특징: 서맥이 심한 환자나 운동 선수에 유리
⚠️ 주의사항: 고혈압 치료엔 효과 제한적
금기: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환자 (불완전 차단 위험)

대표 약물 및 특징

베타차단제(Beta blockers)는 선택성, 추가 효과, 지용성 여부에 따라 다양한 약물이 있으며, 한국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 Atenolol (테놀민 Tenormin)
🟩 β1 선택적 차단제. 수용체 선택성이 높아 기관지에 영향이 적어 천식 환자에게 상대적으로 안전
💊 Metoprolol (로프롤 Lopressor, 베타로크 Betaloc)
🟩 β1 선택적, 심근경색 후 예방과 심부전에 자주 사용됨. 지용성으로 중추 작용 가능성 있음
💊 Bisoprolol (콘코르 Concor)
🟩 고혈압과 심부전에 모두 사용. β1 선택성이 높고 하루 1회 복용으로 순응도 우수
💊 Carvedilol (딜라트렌 Dilatrend)
🟩 비선택성 β차단 + α1 차단 → 말초혈관 저항도 감소. 심부전 치료에서 효과적
💊 Nebivolol (네비레트 Nebilet)
🟩 β1 선택적 차단 + NO 유리 증가 → 혈관 확장 작용 동반
💊 Propranolol (인데놀 Indenol)
🟩 비선택성 차단제. 갑상선중독증, 편두통 예방, 떨림 치료에 자주 사용됨

임상 적용

베타차단제는 고혈압뿐 아니라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 심근경색 후 예방 등 다양한 심장 질환에 사용됩니다.

🟨 고혈압 – 심박수 증가형 고혈압이나 젊은 환자에게 효과적
🟨 심부전 – LVEF 감소형 심부전에 사용 (특히 Bisoprolol, Carvedilol 등)
🟨 협심증 – 심근 산소 소비를 줄여 증상 완화
🟨 부정맥 – 심방세동, 심실상성 빈맥 조절
🟨 심근경색 후 – 재발 예방 및 사망률 감소

주요 부작용

심박수 저하, 피로감, 성기능 저하, 기관지 수축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일부는 중추 신경계 부작용도 나타냅니다.

⚠️ 서맥 – 심박수 과도한 저하
⚠️ 피로감 – 심박수 및 혈류 감소에 의한 전신 무기력
⚠️ 기관지 수축 – 비선택성 약물에서 나타날 수 있음 (천식환자 주의)
⚠️ 성기능 저하 – 일부 환자에서 발기부전 보고됨
⚠️ 수면장애, 우울감 – 지용성 약물은 CNS 부작용 가능

금기 사항

일부 질환이나 상태에서는 베타차단제 사용이 금기이며, 투여 전 병력 확인이 필수입니다.

서맥 또는 방실차단 – 심박수 감소로 악화 가능
천식 또는 COPD – 비선택성 약물은 기관지 수축 유발
급성 심부전 악화기 – 심장 기능 저하 악화 우려
중증 말초혈관질환 – 혈류 감소로 증상 악화 가능

요약

베타차단제는 심박수와 심근 수축을 줄여 심장 질환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선택성과 추가 작용에 따라 약물 선택이 달라지며, 심혈관 보호 효과가 뛰어나지만, 특정 환자군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