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 환기 (Pulmonary Ventilation) 관련 개념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폐환기(Ventilation)의 기본 원리
정의 |
폐환기(Ventilation) 는 들숨(inspiration)과 날숨(expiration)을 통해 공기가 폐로 들어오고 나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제거를 담당하는 중요한 생리적 기능입니다. |
기체의 물리적 법칙
기체의 물리적 법칙 |
공기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압력이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
용적이 줄어들면 압력이 증가하고, 용적이 늘어나면 압력이 감소합니다. |
온도가 상승하면 일정한 기체의 용적이 증가합니다. |
호흡압
호흡압 |
폐 내부 압력(폐내압, intrapulmonary pressure)이 대기압과 같으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상대압력으로 0으로 간주하며,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음압(negative pressure), 높은 경우 양압(positive pressure)으로 표현됩니다. |
음압과 양압
공기의 흐름을 조절
음압(negative pressure)
- 폐 내부압력이 주위 압력보다 낮은 상태 -> 외부에서 공기가 들어옵니다.
- 예를 들어, 빨대를 사용할 때 입 안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아져 음료가 올라오는 것처럼, 폐에서 음압이 생기면 공기가 들어옵니다.
양압(positive pressure)
- 폐 내부 압력이 주위 압력보다 높은 상태 ->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나갑니다.
- 풍선을 불 때 폐 속의 압력이 바깥보다 높아져 공기가 밖으로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흉막강
흉막강 (Pleural Cavity) |
폐를 둘러싼 이중막 사이의 공간으로, 흉막강 내부의 음압은 폐를 팽창된 상태로 유지합니다. |
기흉 (Pneumothorax) |
흉벽이 손상되어 흉막강 내부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지면, 폐가 수축하여 무기폐(폐 허탈)가 발생합니다. |
호흡 과정
들숨 /흡기 (Insipiration)

들숨 (Inspiration) |
횡격막과 외늑간근이 수축하여 흉강과 폐의 용적을 증가시킵니다. |
용적 증가로 인해 압력이 감소하며, 대기압이 폐내압보다 높아져 공기가 폐로 유입됩니다. |
흡입된 공기가 체온으로 팽창하여 폐 팽창을 돕습니다. |
날숨/ 호기 (Expiration)

날숨 (Expiration) |
횡격막과 외늑간근이 이완하여 흉강이 원래 크기로 돌아가면서 폐 용적이 감소합니다. |
폐내압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서 공기가 폐에서 배출됩니다. |
정적 호기 / 강제적 호기


Diagram of Expiration By Cruithne9 – Own work,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59895131
정적 호기(Quiet expiration) : 조용한 날숨, 폐와 흉곽의 탄성을 이용한 수동적 호기 ->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편하게 쉬는 날숨 |
강제적 호기 (Forceful Expiration) : 깊은 날숨, 복근과 내늑간근의 수축에 의한 능동적 호기 -> 촛불을 후 불때 처럼 숨을 더 세게 내쉬기 위해 근육을 사용하는 날숨 |
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폐 탄성 (Lung Elasticity)
폐 탄성 덕분에 숨을 내쉴 때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공기가 나갈 수 있습니다.
폐 탄성 (Lung Elasticity) |
폐와 흉곽의 탄성으로 인해 정적 호기(Quiet Expiration)가 가능해집니다.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날숨을 편하게 할 수 있다는 뜻) 탄성이 감소하면 날숨이 어려워지며, 폐기종(Emphysema)과 같은 질환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관찰됩니다. |
폐 순응도 (Lung Compliance)
폐가 팽창하기 쉬운 정도를 의미
뻣뻣하면 팽창이 어려워짐
폐 순응도 (Lung Compliance) |
폐가 팽창하기 쉬운 정도를 의미합니다. |
정상적인 경우 순응도가 높고 호흡이 원활합니다. |
폐 섬유증(Fibrosis)과 같은 질환에서는 폐가 뻣뻣해져 순응도가 낮아지고 팽창이 어려워집니다. |
기도 저항 (Airway Resistance)
공기 흐름의 저항 정도
- 기관지 수축 = 기도 저항 크다, 호흡이 어려움
- 기관지 확장 = 기도 저항 작다, 호흡이 원활
기도 저항 (Airway Resistance) |
기도의 직경과 상태에 따라 공기 흐름에 저항이 발생합니다. |
천식(Asthma)이나 COPD와 같은 질환에서는 기도가 좁아져 저항이 증가하고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
부교감신경 자극과 히스타민은 기관지를 수축시켜 저항을 증가시킵니다. |
에피네프린은 기관지를 확장시켜 저항을 감소시켜 호흡을 더 원활하게 만듭니다. |
결론
폐환기Ventilation) 의 중요성 |
폐환기는 공기 흐름과 산소 교환을 조절하는 핵심 과정으로, 폐와 흉곽의 압력 변화, 근육의 움직임, 기도의 저항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됩니다.폐 환기의 이상은 호흡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Resource
- Diagram of Expiration By Cruithne9 – Own work,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59895131
- Pulmonary Ventilation –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Breathing
- Inspiration, Expiration DIagram By LadyofHats – self-made based in my own lungs diagram,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5056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