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연쇄상구균(Streptococcus)그람 양성의 구균으로, 사슬 모양으로 배열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혈액 한천에서의 용혈 양상과 Lancefield 항원에 따라 분류되며, 병원성과 감염 부위에 따라 임상적 중요성이 달라집니다.

By USDA Image Number:99cs0649Source page: http://www.usda.gov/oc/photo/99cs0649.htmSource image:http://www.usda.gov/oc/photo/99c0649.jpg,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321918

Streptococcus 속은 그람 양성 구균(Gram-positive cocci)으로, 염색 및 현미경 관찰 시 특유의 배열과 색상으로 구분됩니다.

그람 염색 결과
🟦 짙은 보라색(Gram-positive)으로 염색되며, 구형의 세균들이 사슬(chain) 형태로 배열됨
형태학적 특징
🟧 직경 약 0.5~1.0μm의 구균(coccus)이며, 포도상구균과 달리 사슬 모양으로 길게 배열되는 것이 특징
그 외 특성
🟨 운동성 없음, 포자 형성하지 않음, 통상적으로 카탈라아제(catalase) 음성

연쇄상구균의 분류

Streptococcus 속은 크게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됩니다

① 혈액 한천에서 보이는 용혈 양상(α, β, γ) -> 실험실에서 관찰되는 혈액 파괴 정도 기준

Lancefield 분류 (세포벽 C 탄수화물 항원 기준) -> 세포벽 항원 구조 기준 (A, B, D 등)

1. 용혈 양상(hemolysis pattern)에 따른 분류

By CNX OpenStax – https://cnx.org/contents/5CvTdmJL@4.4, CC BY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53712972

혈액 한천 배지에서 적혈구를 용해시키는 정도에 따라 α, β, γ 용혈성으로 나뉩니다.

α-용혈 Streptococcus
🟦 불완전한 적혈구 파괴로 혈액 한천에서 부분 용혈(녹색 변색)을 보임
S. pneumoniae: 폐렴, 수막염, 중이염의 주요 원인
Viridans streptococci: 구강 상재균으로, 심내막염의 주요 원인

β-용혈 Streptococcus
🟥 완전 용혈(Clear zone)을 보이며, 병원성이 강함
S. pyogenes (Group A): 인두염의 주요 원인. 단독, 봉와직염, 류마티스열, PSGN 유발
S. agalactiae (Group B): 신생아 수막염, 패혈증의 주요 원인

γ-용혈 Streptococcus
🟨 용혈 없음 (비용혈성)
Enterococcus spp.: 심내막염,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 다제내성 문제 (VRE 등)

α-용혈 Streptococcus

녹색의 부분 용혈을 보이며, 적혈구를 불완전하게 용해합니다.

Streptococcus pneumoniae
🟦 지역사회 획득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 수막염의 주요 원인
협막(polysaccharide capsule)으로 식균 작용 회피 가능 → 백신 접종 필요 (PCV13, PPSV23)
Viridans group streptococci
🟨 입과 인두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나, 심내막염의 주요 원인 (특히 치과 시술 후)
심장 판막 질환 환자에서 예방적 항생제 투여 고려

β-용혈 Streptococcus

맑은 투명 용혈대를 만들며, 적혈구를 완전히 용해합니다. 병원성이 매우 강합니다.

Streptococcus pyogenes (Group A)
🟥 인두염, 단독(erysipelas), 봉와직염(cellulitis), 괴사성 근막염, 성홍열 등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의 주요 원인
류마티스열, 사구체신염(PSGN) 등 면역 매개 합병증도 유발

Streptococcus agalactiae (Group B)
🟧 신생아 패혈증, 수막염, 폐렴의 주요 원인
임산부의 질 내에서 상재 가능하며, 분만 전 GBS 스크리닝 및 예방적 항생제 투여 필요

γ-용혈 Streptococcus (비용혈성)

혈액 한천 배지에서 용혈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Enterococcus faecalis / faecium
🔵 요로감염, 복강 내 감염, 심내막염 등의 주요 원인
다제내성(VRE) 문제가 있으며, 반코마이신 내성 시 리네졸리드, 다프토마이신 고려

2. Lancefield 분류 (Lancefield grouping)

연쇄상구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C 탄수화물 항원을 기준으로 그룹화합니다. 주로 β-용혈성 연쇄상구균을 분류할 때 사용됩니다.

Group A
🟥 S. pyogenes: 인두염, 단독, 류마티스열, PSGN 등 유발
Group B
🟧 S. agalactiae: 신생아 수막염, 패혈증, 폐렴의 주요 원인
Group D
🔵 Enterococcus faecalis, S. bovis 등: 요로감염, 심내막염 등 유발

연쇄상구균 항생제 선택

각 연쇄상구균(streptococcus)은 감염을 잘 일으키는 부위가 다르며, 이에 따라 항생제 선택도 달라집니다.

S. pyogenes
주로 인두염,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을 유발합니다.
💊 1차 치료제: 페니실린 V, 아목시실린
🟧 대체 약제: 아지트로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페니실린 알레르기 시)

S. agalactiae
신생아 패혈증, 수막염산모의 요로 감염을 유발합니다.
💊 1차 치료제: 페니실린 G, 암피실린 (산모 GBS 예방 포함)
🟧 대체 약제: 클린다마이신, 반코마이신 (알레르기 또는 내성 시)

S. pneumoniae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 수막염 등 다양한 호흡기계 및 중추신경계 감염을 유발합니다.
💊 경증 감염: 고용량 Amoxicillin
🟨 중증 또는 내성: 세프트리악손, 반코마이신

Viridans group streptococci
구강에 서식하며, 치과 처치 후 감염성 심내막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1차 치료제: 페니실린 G 또는 세프트리악손 (심내막염 시)
🟧 대체 약제: 반코마이신 (고도 알레르기 시)

S. anginosus group
농양 형성 경향이 강하며, 뇌, 간, 폐 등 깊은 장기의 화농성 감염을 유발합니다.
💊 1차 치료제: 페니실린, 세프트리악손
🟧 농양 형성 시 배액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