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mple Gland : 분비관이 하나, 빠르게 분비
Compound Gland : 분비관이 여러개, 다량으로 분비
Table of Contents
분비선의 세포 배열 (Cellular Arrangement of Glands)
분비선(glands)은 쉽게 말해 우리 몸의 화학 공장입니다. 특정 물질(호르몬, 효소, 점액 등)을 생성하여 체내 또는 체외로 분비하는 세포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분비선의 세포 배열은 조직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다양하며,, 분비선의 구조적 배열에 따라 Simple Gland(단순샘)과 Compound Gland(복합샘)으로 나뉩니다. 또한, 각 샘을 이루는 상피 조직의 종류에 따라 기능이 달라집니다.
Simple Gland (단순샘)
분비관이 하나, 빠르고 효율적인 분비

Simple Gland는 분비관(duct)이 단순하고 가지를 치지 않는 샘이며, 분비물은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직접 분비됩니다. 한 층의 세포 또는 작은 세포군으로 구성되 단순한 분비 기능을 수행합니다.
📌 특징:
🔹단순한 관(duct) 구조
🔹분비 부위(secretory portion)가 단순한 모양
🔹 한 층의 세포로 배열되어 있어 빠른 분비가 가능합니다.
🔹 호르몬, 점액, 소화 효소 등을 즉각적으로 분비하는 조직에서 발견됩니다.
📌 종류와 예시
- 단순 관형샘(Simple tubular gland) → 대장 내 장샘(Crypts of Lieberkühn)
- 단순 나선형샘(Simple coiled tubular gland) → 땀샘(Sweat glands)
- 단순 방형샘(Simple acinar gland) → 요도 점액샘(Urethral glands)
- 단순 관-방형샘(Simple tubuloacinar gland) → 위샘(Gastric glands)
📌 상피조
✔️ 단층 입방상피(Simple Cuboidal Epithelium) – 신세뇨관, 갑상샘 소포에서 발견됨
✔️ 단층 원주상피(Simple Columnar Epithelium) – 위장관의 샘에서 점액 및 효소 분비
단층 입방상피(Simple Cuboidal Epithelium) |
단일층의 입방형 세포(Cuboidal) 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비와 흡수 기능을 수행합니다. |
기능: 흡수, 분비, 보호 |
땀샘, 신세뇨관(kidney tubules), 갑상샘(thyroid gland) 등 |
단층 원주상피(Simple Columnar Epithelium) |
기둥 모양(원주형, Columnar)의 세포들이 한 층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
기능: 영양소 흡수, 점액 분비 |
위(gastric mucosa), 장(intestinal lining), 자궁(endometrium) 등 |
Compound Gland (복합샘)
여러개의 분비관, 복잡한 구조 , 분비물을 다량으로 분비

복잡한 배열을 가 여러 층의 세포로 구성되며, 다량의 분비물을 생성하거나 특정한 조절 기전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 구조적 특징
- 분비관(duct)이 가지(branching) 구조
- 여러 개의 분비 부위가 존재
- 복잡한 세포 배열을 가지며, 기능이 정교함
📌 종류와 예시
- 복합 관형샘(Compound tubular gland) → 십이지장 점액샘(Brunner’s gland)
- 복합 방형샘(Compound acinar gland) → 젖샘(Mammary gland)
- 복합 관-방형샘(Compound tubuloacinar gland) → 침샘(Salivary gland)
중층 입방상피(Stratified Cuboidal Epithelium) |
2~3층의 입방형 세포(Cuboidal cell)로 구성됩니다. . |
기능: 강한 보호 기능 및 분비 기능 보조 |
위치: 땀샘, 침샘, 유선(mammary gland) |
위중층 원주상피(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
층층이 배열된 것처럼 보이지만, 모든 세포가 기저막에 접촉한 단일층 |
기능: 점액 분비 및 섬모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 |
위치: 호흡기도(기관, 기관지), 부고환(부정소, epididymis) |
분비선의 형태에 따른 배열
분비선의 구조는 분비 부위의 형태로도 구분합니다. 분비선의 세포 배열과 함께 관 구조(duct system)와 선체(glandular body)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슬라이드로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보시면서 설명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Created By Modifying Glandular Arrangement of Simple Gland By Artwork by Holly Fischer – http://open.umich.edu/education/med/resources/second-look-series/materials – Histology of Glands Slide 6, CC BY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4367147

① 관형샘(Tubular Gland)
- 분비 부위가 길쭉한 관(tube) 모양
- 장 점막에서 발견됨
- 예시: 대장의 장샘(Crypts of Lieberkühn), 위샘(Gastric glands)
② 방형샘(Acinar Gland or Alveolar Gland)
- 분비 부위가 둥글거나 방(ball-like) 형태
- 점액을 분비하는 샘에서 흔히 발견됨
- 예시: 침샘(Salivary glands), 젖샘(Mammary glands)
③ 관-방형샘(Tubuloacinar Gland)
- 관형과 방형이 혼합된 형태
- 예시: 침샘(Salivary glands), 췌장(Pancreas)
분비선 유형 | 설명 |
관형 분비선(Tubular Glands) | 세포들이 길게 관 형태로 배열되며, 장샘(intestinal glands)과 같은 조직에서 발견됩니다. |
포상 분비선(Alveolar or Acinar Glands) | 포도송이처럼 둥근 구조를 가지며, 침샘 및 외분비샘에서 발견됩니다. |
관포 복합 분비선(Tubuloalveolar Glands) | 관형과 포상 구조가 혼합된 형태로, 유선(mammary glands)에서 관찰됩니다. |
정리
분비선의 세포 배열은 분비 기능과 조직의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합니다. 단순한 구조를 가진 선들은 작고 국소적인 분비를 담당하는 반면, 복잡한 배열을 가진 분비선은 다량의 분비물 생성 및 조절된 분비를 수행합니다.
Resource
- Glandular Arrangement of Simple Gland By Artwork by Holly Fischer – http://open.umich.edu/education/med/resources/second-look-series/materials – Histology of Glands Slide 6, CC BY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4367147
- Glandular Arrangement of compound Gland By Artwork by Holly Fischer – http://open.umich.edu/education/med/resources/second-look-series/materials – Histology of Glands Slide 6, CC BY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4367148
- Structure of Simple tubular gland By Artwork by Holly Fischer – http://open.umich.edu/education/med/resources/second-look-series/materials – Histology of Glands Slide 7, CC BY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4367142
- Compound Acinar Gland. By Artwork by Holly Fischer – http://open.umich.edu/education/med/resources/second-look-series/materials – Histology of Glands Slide 10, CC BY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4740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