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농균 감염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항생제 내성이 강한 그람음성 간균으로, 주로 면역저하자나 병원 환경에서 기회감염 형태로 발생합니다.

병원성은 낮지만, 일단 감염 시 빠르게 퍼지고 항생제 저항성이 강해 치료가 까다롭습니다.

By DataBase Center for Life Science (DBCLS) – https://doi.org/10.7875/togopic.2017.38, CC BY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61823789
녹농균 감염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 운동성을 가진 그람음성 간균이며, 습한 환경과 병원 환경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원인

건강한 사람에겐 잘 감염되지 않지만, 면역저하자나 중환자실 환자에게서 기회감염 형태로 흔하게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
🔴 면역저하 상태
암 치료, 장기이식, 스테로이드 사용 등으로 인한 기회감염에서 잘 발생합니다.
🔴 습한 환경
욕조, 호흡기 기기, 카테터 등 병원 환경에서 흔히 존재하며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임상양상

녹농균 감염은 감염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지만, 특정한 분비물 색깔과 냄새가 공통된 단서로 작용합니다.

특징적인 삼출물과 냄새는 녹농균 감염을 의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단서입니다.

공통적인 증상 및 징후
🟩 녹색 삼출물(greenish discharge)
녹농균의 pyocyanin, pyoverdin 색소로 인해 분비물이 청록색 또는 황녹색을 띱니다.
🟩 포도주 , 과일 같은 냄새? (sweet odor)
감염 부위에서 포도주나 과일 같은 냄새가 납니다. 녹농균 고유의 휘발성 대사산물 때문입니다.
🟩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음
녹농균은 자연적인 내성 기전과 약제 펌프를 보유하고 있어 치료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감염 부위별 임상양상

감염된 부위에 따라 증상이 뚜렷하게 달라지며, 중증으로 진행 시 전신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감염 부위별 증상
🟦 외이도염
통증, 가려움, 청록색 고름 배출이 있으며, 고령자·당뇨병 환자에서는 악성 외이도염으로 진행 가능
🟦 세균성 각막염
콘택트렌즈 장기 착용 시 발생. 격심한 통증, 시력 저하, 녹색 눈곱 배출. 치료 지연 시 실명 위험.
🟦 폐렴 (병원성/기회감염)
기침, 호흡곤란, 녹색 가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 중 하나.
🟦 화상 부위 감염
화상 부위에서 청록색 진물, 궤양, 감염이 깊게 침범하며 패혈증으로 빠르게 진행 가능.
🟦 요로감염
도뇨관 삽입 환자에서 발생. 녹색 혼탁뇨, 특유의 악취, 감염 지속.
🟦 피부/연조직 감염
수술 부위, 욕창, 카테터 부위 감염. 농양 형성 및 궤사 가능.
🟦 패혈증 및 ecthyma gangrenosum
면역저하자에서 발생. 혈류감염으로 진행하며, 특징적인 괴사성 피부 병변이 나타남.

Pseudonomas skin infection by DermNet NZ, available at DermNet NZ, licensed under CC BY-NC-ND 3.0 NZ.
Pseudonomas skin infection by DermNet NZ, available at DermNet NZ, licensed under CC BY-NC-ND 3.0 NZ.
Shrestha, Gauri & Vijay, Ajay & Stapleton, Fiona & Henriquez, Fiona & Carnt, Nicole. (2020). Understanding clinical and immunolog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Pseudomonas and Staphylococcus keratitis. Contact lens & anterior eye: the journal of the British Contact Lens Association. 44. 3-13. 10.1016/j.clae.2020.11.014.
By Franquet T., Chung J.H. – (2019). “Imaging of Pulmonary Infection”. Part of the IDKD Springer Series book series (IDKD): 65–77. DOI:10.1007/978-3-030-11149-6_7. ISSN 2523-7829.-CC BY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85722079

진단

배양 검사를 통해 녹색 삼출물(greenish discharge)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며, 특유의 향(포도주 냄새)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 방법
🔵 배양 검사
녹색의 pyosyanin 색소를 띤 삼출물이 배양상 확인되며, 선택 배지에서 잘 자랍니다.
🔵 항생제 감수성 검사
항생제 내성이 흔하므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적절한 약제를 선택합니다.

By Denise Chan – https://www.flickr.com/photos/denn/67168391/in/photolist-6WfPH-bbUT6x-bbUSyv-nwiejV-cpfPco-nzCkPz-cdjRkQ-nxgJeP-bA3xt9-nEG4ad-nGAjHt-oKwbaA-buUhML-nv5S46-nv43qF-4nbxaW-dZV3sK-VMzSNz-nw37sx-nf8B8M-bQ8TDe-nxGjUn-hG3m5y-nzns2z-nEMS2G, CC BY-SA 2.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89546489

치료

  • 항녹농균 페니실린: Piperacillin
  • 카바페넴: Meropenem, Imipenem, Doripenem
  • 세팔로스포린 (4세대 이상): Ceftazidime (3세대), Cefepime (4세대)
  • 플루로퀴놀론: Ciprofloxacin > Levofloxacin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Amikacin > Gentamicin, Tobramycin
  • 폴리믹신계: Colistin, Polymyxin B
  • 베타락탐/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 복합제
    • Ceftazidime/Avibactam
    • Ceftolozane/Tazobactam
    • Piperacillin/Tazobactam

– 녹농균은 항생제 내성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단독 사용보다는 병용요법(특히 중증 감염 시)이 추천되며, β-lactam + aminoglycoside 또는 fluoroquinolone 조합이 대표적입니다.
Ceftazidime, Cefepime, Meropenem 등이 녹농균 치료의 1차 약제로 자주 사용됩니다.

녹농균은 외막이 두껍고 항생제 내성기전이 다양하여, 선택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녹농균에 항균 작용을 보이는 항생제
💊 Piperacillin-tazobactam (피페라실린-타조박탐)
광범위 페니실린계 항생제이며, β-lactamase 억제제(tazobactam)를 포함하여 안정성이 높음. 녹농균에 대해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 Ceftazidime (세프타지딤)
3세대 세팔로스포린 중 녹농균에 대해 효과 있는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CNS 침투가 가능하여 수막염에도 사용됩니다.
💊 Cefepime (세페핌)
4세대 세팔로스포린으로, ceftazidime보다 β-lactamase에 더 안정적이며 녹농균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가집니다.
💊 Aztreonam (아즈트레오남)
단일 β-lactam인 모노박탐(monobactam) 계열로, 녹농균에 특화되어 있으나 그람양성균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 페니실린 알레르기 환자에 사용 가능.
💊 Meropenem, Imipenem, Doripenem
(카바페넴계)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며, ESBL 생성 균주 및 녹농균에 우수한 활성을 보입니다.
* 단, carbapenemase 생산균(MBL 등)에는 효과 없습니다.
💊 Ceftolozane-tazobactam (세프톨로잔-타조박탐)
신규 개발된 cephalosporin + β-lactamase inhibitor 조합으로, 다제내성 녹농균(MDR-PA)에 대해서도 활성을 가집니다. 복합성 요로감염, 복강 내 감염에 적응.
💊 Ceftazidime-avibactam (세프타지딤-아비박탐)
3세대 세팔로스포린과 강력한 β-lactamase 억제제 조합으로, carbapenemase가 아닌 AmpC, ESBL, KPC 보유 균주에 효과적입니다.
💊 Polymyxin B / Colistin (폴리믹신 B / 콜리스틴)
막을 파괴하는 기전을 가지며, 다른 약물에 모두 내성일 때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신독성/신경독성 위험이 큽니다.
💊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단독보다는 β-lactam 항생제와 병용하여 사용하며, 세포 내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살균 작용을 보입니다. 신독성/이독성 유의.
💊 Ciprofloxacin, Levofloxacin
(퀴놀론계)
Ciprofloxacin은 녹농균에 대해 가장 강력한 fluoroquinolone이며, levofloxacin도 어느 정도 활성 보입니다. 다만 내성 증가 추세에 유의해야 합니다.

예후

면역저하자에서는 감염이 급속히 진행될 수 있으며, 치료가 지연되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예후
초기 항생제 선택이 적절하면 대부분 완치 가능합니다.
면역저하자, 중환자에서는 패혈증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이 중요합니다.

생활 관리

감염 예방을 위해 병원 기기 관리와 위생 유지가 중요합니다.

생활 관리 수칙
🟨 습한 환경 소독
욕조, 호흡기 기기, 카테터 등은 정기적으로 소독하여 감염원을 차단합니다.
🟨 면역저하자 위생 강화
장기이식 환자나 항암 치료 중인 환자는 외부 환경에 노출을 최소화하고, 상처는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