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kinetics (위장운동 촉진제)

Prokinetics : 위장관 운동을 촉진 -> 위마비/ 기능성 소화불량/ 오심 , 구토 등

Prokinetics는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하여 위 배출과 장 연동을 증가시키는 약물입니다. 위마비, 기능성 소화불량, 오심·구토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수용체를 타깃으로 작용합니다.

작용기전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세로토닌 수용체 자극,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기전에 따라 부작용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1️⃣ D2 수용체 길항제
🟧 도파민 수용체(D2)를 차단하여 위장관에서 아세틸콜린 분비를 증가시켜 연동운동 촉진
💊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 돔페리돈(Domperidone)

2️⃣ 5-HT4 수용체 작용제
🟦 세로토닌(5-HT4) 수용체를 자극하여 장신경에서 아세틸콜린 분비 증가 → 장운동 촉진
💊 모사프리드(Mosapride),
💊 프루칼로프라이드(Prucalopride)

3️⃣ 복합 작용제
🟧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 + D2 차단 → 이중기전으로 위장운동 촉진
💊 이토프리드(Itopride)

4️⃣ 모티린 수용체 작용제
🟦 모티린 수용체 자극 → MMC (Migrating Motor Complex) 유도 → 위 배출 촉진
💊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 항생제지만 저용량에서는 Prokinetics로 쓰이기도 합니다. 잘 쓰이진 않습니다 .

5️⃣ 기타 약물
🟨 특수한 기전으로 위장관 조절 (ex. 설사 억제, 신경호르몬 조절)
💊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
💊 스코폴라민(Scopolamine)

D2 수용체 길항제 (Dopamine D2 Receptor Antagonists)

아세틸콜린 방출 증가 → 위장관 연동운동 촉진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위장관의 아세틸콜린 방출을 촉진시켜 위장 운동을 증가시키며, 일부는 뇌에도 작용하여 항구토 효과를 가집니다.

작용 기전
🟧 D2 수용체 차단 → 아세틸콜린 방출 증가 → 위장관 연동운동 촉진
🟧 (Metoclopramide는 BBB 통과 → 뇌간 CTZ에서 항구토 작용)

효과
🟦 위 배출 시간 단축, 오심·구토 완화
적응증
🟨 위마비(Gastroparesis), 항암제 유발 오심·구토, 기능성 소화불량

대표약물
💊 메토클로프라미드 (Metoclopramide)
중추말초 D2 수용체 차단 → 항구토 + 위 배출 촉진
💊 도파미딘 (Domperidone)
말초 D2 수용체 선택적 차단 → 위 배출 촉진, 중추 부작용 적음

부작용
🟥 Metoclopramide: 추체외로계 증상(경직, 안절부절, 파킨슨 증상 등)
🟥 고프로락틴혈증 → 여성의 무월경, 유즙분비증
금기
🔴 장폐색, 파킨슨병(추체외로 증상 악화 가능)

5-HT4 수용체 작용제 (5-HT4 Receptor Agonists)

5-HT4 수용체 활성화장 신경의 ACh 분비 증가

5-HT4 수용체를 자극하여 장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분비시켜 연동운동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작용 기전
🟧 5-HT4 수용체 활성화장 신경의 ACh 분비 증가 → 연동운동 증가

효과
🟦 장 연동 활성화, 위장 배출 개선, 복부 팽만감 완화
적응증
🟨 기능성 소화불량, 만성 변비 (특히 Prucalopride는 대장 우세)

대표약물
💊 모사프리드 (Mosapride)
5-HT4 수용체 자극 → 아세틸콜린 분비 증가로 위장운동 촉진
💊 프루칼로프라이드 (Prucalopride)
선택적 5-HT4 작용 → 장 운동성 강화 (특히 만성 변비)

부작용
🟥 설사, 복통, 두통
🟥 일부 약물(Tegaserod 등)은 심혈관계 이상 위험으로 중단됨
금기
🔴 장폐색, 심혈관계 질환 병력 (특히 5-HT 작용제 중 일부)

AChE 억제 + D2 길항제 (이중 작용제)

Ach 분해효소 억제 (콜린 자극 지속) + D2 수용체 차단 (위장운동 증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를 통해 콜린 자극을 지속시키고, 동시에 D2 수용체 차단으로 위장운동을 증가시킵니다.

작용 기전
🟧 AChE 억제 + D2 수용체 길항
→ 아세틸콜린 작용 지속 → 운동 촉진
효과
🟦 위 배출 촉진, 팽만감 완화
적응증
🟨 기능성 소화불량, 만성 위부 불편감

대표약물
💊 이토프리드 (Itopride)
D2 수용체 차단 +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 → 위장관 아세틸콜린 증가로 운동 촉진

부작용
🟥 설사, 복부 통증, 드물게 추체외로 증상 (다소 낮음)
금기
🔴 장폐색, 중증 간질환 (약물 대사 저하 가능)

모티린 수용체 작용제 (Motilin Receptor Agonists)

모티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MMC(Migrating Motor Complex)를 유도, 위 배출을 빠르게 합니다. 일부 macrolide 계 항생제에서 발견된 부작용이 치료 효과로 이용되는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Erythromycin 등)

작용 기전
🟧 Motilin 수용체 자극 → MMC 유도 → 위 배출 촉진
효과
🟦 위 배출시간 단축, 위정체 증상 개선
적응증
🟨 당뇨병성 위마비, 내시경 준비 시 위 내용물 제거

대표 약물
💊 에리트로마이신 (Erythromycin)
모틸린 수용체 자극 → 강한 위장관 수축 유도, 단기 효과
항생제지만 저용량에서는 Prokinetics로 쓰이기도 합니다.

부작용
🟥 항생제 내성 유발, 위장관 경련, QT 연장
금기
🔴 심장 부정맥 병력자 (QT prolongation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