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Bony Structures (AP View)


천골 (Sacrum)
| 천골 (Sacrum) |
| ✅ 요추 아래에 위치하며, 미골과 연결되는 큰 삼각형 구조입니다. AP view에서 정중앙 하부에 넓은 골 구조로 관찰됩니다. |
| 🔴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기준이 됩니다. |


미골 (Coccyx)
| 미골 (Coccyx) |
| ✅ 척추의 가장 하단에 위치한 작은 골절 구조로, 천골 아래에서 정중앙에 위치합니다. |
| 🔴 AP view에서는 짧고 좁은 골 구조로 보이며, 미골 통증(coccydynia)이나 외상 평가 시 주요하게 봐야 합니다. |


장골 (Ileum)
| 장골 (Ileum) |
| ✅ 골반의 상부를 구성하는 큰 뼈로, 장골능(iliac crest)과 전상장골극(ASIS) 등을 포함합니다. |
| 🔴 AP view에서는 넓은 곡선형 음영으로 관찰되며, 골반 골절 여부 평가에 중요합니다. |


장골능 (Iliac Crest)
| 장골능 (Iliac Crest) |
| ✅ 골반의 가장 상부 경계로, AP pelvis 영상에서 양측 상단에 대칭적으로 보입니다. |
| 🔴 곡선을 이루며, 체위 기준점으로도 활용됩니다. |


좌골결절 (Ischial Tuberosity)
| 좌골결절 (Ischial Tuberosity) |
| ✅ ‘앉는 뼈’라고도 불리는 부위로, 체중이 걸리는 지점입니다. AP pelvis 영상에서 골반의 가장 하단에 큰 음영으로 보입니다. |
| 🔴 햄스트링 기시부위로 근육 손상 및 견열골절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입니다. |


좌골극 (Ischial Spine)
| 좌골극 (Ischial Spine) |
| ✅ 골반 내측 벽에 위치한 뾰족한 돌기 구조로, AP view에서 천골 양측 근처에 미세한 돌출로 관찰됩니다. |
| 🔴 산과적 평가(산도 협착 등)에서 중요한 해부학적 지표입니다. |


전하장골극 (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 전하장골극 (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
| ✅ 장골의 전면 하부에서 돌출된 골격 구조로, AP pelvis 영상에서 양측 장골의 앞쪽 경계선 부근에 위치합니다. |
| 🔴 대퇴직근(rectus femoris)의 기시부로 기능하며, 외상 시 견열 골절(avulsion fracture)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골체 (Body of Pubis)
| 치골체 (Body of Pubis) |
| ✅ 골반 전면 중앙을 구성하는 뼈 구조로, 치골결합(pubic symphysis)의 양측에서 관찰됩니다. |
| 🔴 골반의 안정성과 관련된 부위로, 골절이나 결합 이완 여부를 평가할 때 중요합니다. |


치골결합 (Pubic Symphysis)
| 치골결합 (Pubic Symphysis) |
| ✅ 치골의 정중앙에서 좌우를 연결하는 섬유연골 관절로, AP view에서 골반 중앙 하단에서 좁은 간격의 음영으로 보입니다. |
| 🔴 외상이나 분만 후 이완이나 분리(pubic diastasi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골결절 (Pubic Tuberosity)
| 치골결절 (Pubic Tuberosity) |
| ✅ 치골의 상단에서 약간 돌출된 부위로, AP view 에서는 치골결합 바로 옆에서 작고 밀도 높은 음영으로 보입니다. |
| 🔴 인대 부착 부위로 해부학적 기준점으로 활용됩니다. |


상치골지 (Superior Pubic Ramus)
| 상치골지 (Superior Pubic Ramus) |
| ✅ 치골의 상단 분지로, 치골결합에서 대각선으로 위쪽으로 뻗어 장골과 연결됩니다. AP View에서는 골반 앞쪽 상부에서 연속적인 골 음영으로 나타납니다. |
| 🔴골반 고리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구조입니다. |


하치골지 (Inferior Pubic Ramus)
| 하치골지 (Inferior Pubic Ramus) |
| ✅ 치골의 하부 분지로, 좌골과 연결되어 골반 하부를 구성합니다. AP view에서 치골결합 아래쪽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음영으로 나타납니다. |
| 🔴 외상성 골절이 흔히 발생하는 부위입니다. |


Pelvic Region


PELVIS
비구 (Acetabulum)
| 비구 (Acetabulum) |
| ✅ 대퇴골두(femoral head)가 삽입되는 골반 측면의 오목한 부분으로, AP view에서 둥근 원형 구조로 나타납니다. |
| 🔴골절, 탈구, 또는 관절 간격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전상장골극 (ASIS,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 전상장골극 (ASIS,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
| ✅ 장골의 앞쪽 윗부분에 돌출된 뼈로, AP view에서 골반의 가장 상전방에 대칭적으로 위치합니다. |
| 🔴 표면해부학에서 중요한 구조로 , 골반의 변위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폐쇄공 (Obturator Foramen)
| 폐쇄공 (Obturator Foramen) |
| ✅ 치골과 좌골 사이에 위치한 크고 타원형의 개구부로, AP view에서는 골반 하단 양측에 대칭적인 투과성 음영으로 보입니다. |
| 🔴 골반 골절에서 비대칭이나 모양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부위입니다. |


골반 입구 (Pelvic Inlet)
| 골반 입구 (Pelvic Inlet) |
| ✅ 천골 윗면에서 치골결합까지 이어지는 경계로, 출산 시 태아가 처음 통과하는 공간입니다. |
| 🔴 AP view에서는 전체 골반 윤곽과 함께 전후 직경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천장관절 (Sacroiliac Joint)
| 천장관절 (Sacroiliac Joint) |
| ✅ 천골과 장골 사이의 관절로, AP view상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좁고 긴 틈으로 관찰됩니다. |
| 🔴 간격이 좁아지거나 불규칙한 경우 염증성 질환(예: 강직성 척추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FEMUR
대퇴골두 (Head of Femur)
| 대퇴골두 (Head of Femur) |
| ✅ 비구에 삽입되어 고관절을 이루는 구형 구조물로, AP view에서 관절 중심부의 둥근 음영으로 나타납니다. |
| 🔴 대퇴골두의 위치와 관절 간격을 통해 탈구, 골괴사 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대퇴골 경부 (Neck of Femur)
| 대퇴골 경부 (Neck of Femur) |
| ✅ 대퇴골두와 대퇴골 간부 사이의 연결 부위로, AP view에서 비구 아래 대각선으로 위치한 가늘고 길쭉한 구조입니다. |
| 🔴 노인의 고관절 골절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로, 윤곽 변화나 불연속성을 신경 써서 관찰해야 합니다. |


대전자 (Greater Trochanter)
| 대전자 (Greater Trochanter) |
| ✅ 대퇴골의 외측 상부에 위치한 크고 돌출된 구조로, AP view에서 고관절 외측에 명확한 골 음영으로 나타납니다. |
| 🔴 고관절 주위 근육의 부착점이며 외상 시 골절 부위가 될 수 있습니다. |


소전자 (Lesser Trochanter)
| 소전자 (Lesser Trochanter) |
| ✅ 대퇴골의 후내측에 위치한 작은 돌기이며, AP view에서는 보통 대퇴골 내측에서 작고 조밀한 음영으로 관찰됩니다. |
| 🔴 굴곡근(Hip Flexor)의 부착점이며, 과사용성 견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Resource
- All Images by Claudia Krebs, adapted by Monika Fejtek, supported by HIV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vailable at Clinical Anatomy Website, licensed under CC BY-NC-SA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