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측검정(One-Tailed Test)과 양측검정 (Two-Tailed Test)

단측 검정 -> 특정 방향이 있음 (크기나 효과 등)

양측 검정 -> 차이만 있으면 됨.

🚩 단측검정(One-Tailed Test)양측검정(Two-Tailed Test)은 가설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방향성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연구자가 특정 방향성을 가정하는 경우 단측검정을, 방향성을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 양측검정을 사용합니다.

단측검정 (One-Tailed Test)
✅ 연구자가 특정 방향(크거나 작음)을 가정하는 경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치료제가 기존 치료제보다 효과가 크다”라는 가설을 검증할 때 단측검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By Repapetilto – Adobe IllustratorPreviously published: Unpublished, CC BY-SA 3.0, https://en.wikipedia.org/w/index.php?curid=35569621
양측검정 (Two-Tailed Test)
✅ 효과의 방향을 특정하지 않고,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치료제가 기존 치료제와 다르다”라는 가설을 검증할 때 양측검정을 사용합니다.
Two-Tailed Test By User:HiTe – 자작, 퍼블릭 도메인,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084849

단측검정과 양측검정의 차이

🚩 단측검정과 양측검정의 선택은 연구의 목적과 가설 설정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검정 방향
✅ 단측검정은 한쪽 방향(크거나 작음)에 초점을 맞추지만, 양측검정은 두 방향(크거나 작음 모두)에 대한 가능성을 고려합니다.
P-Value 계산
✅ 단측검정에서는 한쪽 꼬리의 확률만 고려하여 P-Value를 계산하지만, 양측검정에서는 두 꼬리의 확률을 합산하여 P-Value를 계산합니다.

단측검정과 양측검정의 적용 사례

단측검정이 필요한 경우

예시: 신약이 기존 치료제보다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 “새로운 항고혈압제가 기존 약물보다 혈압을 더 낮출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할 때, 단측검정을 사용하여 신약이 더 효과적인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양측검정이 필요한 경우

예시: 신약과 기존 치료제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는 경우
✅ “새로운 항고혈압제가 기존 약물과 효과가 다를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할 때, 효과의 방향을 특정하지 않으므로 양측검정을 사용합니다.

단측검정과 양측검정의 선택 기준

✅ 단측검정을 사용할 경우, 연구자가 사전에 명확한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면, 효과의 방향성을 알 수 없는 경우 양측검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단측검정 추천 상황
✅ 특정 방향으로만 의미 있는 결과가 있는 경우 (예: “A는 B보다 크다”)
양측검정 추천 상황
✅ 효과의 방향이 불분명하거나, 양방향으로의 차이를 모두 검토해야 하는 경우

BIOSTATISTICS, 의통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