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운동 과정

위 운동과 위액 분비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액 분비와 위 운동의 조절

위에서 소화된 내용물(Chyme)은 유문 괄약근(Pyloric Sphincter)을 통해 십이지장(Duodenum)으로 천천히 배출됩니다.
이 과정은 연동 운동(Peristalsis)신경 및 호르몬 조절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위 운동의 과정

위에서 음식물이 소장으로 이동하는 타이밍은 소장의 소화 상태에 따라 조절됩니다. 소장이 가득 차거나 음식물이 아직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상태라면, 위는 음식을 저장하며 기다립니다.

각 과정에 대해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면서 글을 봐주세요 .

위 운동 과정
By Jonathan Dyhr – {{own work based on Diagram showing the parts of the stomach CRUK 336.svg by Cancer Research UK}},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25628425

1. 음식물이 위에서 소화되어 미즙(Chyme) 형성

1. 음식물이 위에서 소화되어 미즙(Chyme) 형성
① 음식물이 위에 도달하면 하부 식도 괄약근(LES, Lower Esophageal Sphincter)이 닫히고, 소화가 시작됩니다 .
② 위의 벽세포(Parietal cells)에서 염산(HCl)을 분비해 위의 산도를 낮추고, 단백질을 변성시킵니다.
③ 주세포(Chief cells)에서 분비된 펩시노겐(Pepsinogen)은 염산에 의해 활성화되어 펩신(Pepsin)으로 변환됩니다.
⑤ 위 근육의 기계적 운동과 화학적 소화 작용이 함께 일어나 음식물은 반유동 상태의 미즙으로 변화합니다.

2. 연동 운동(Peristaltic wave)에 의한 이동

2. 연동 운동(Peristaltic wave)에 의한 이동
위벽의 세 근육층(종주근, 윤상근, 사근)이 조화롭게 수축하여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연동 운동이 발생합니다.
연동 운동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뉩니다:
수용성 이완(Receptive relaxation): 위저부(Fundus)가 확장되어 음식물을 저장.
추진성 수축(Propulsive contraction): 체부에서 연동파가 발생해 미즙을 유문부로 이동.
역류성 수축(Retropulsion): 유문부에서 괄약근이 닫히며 미즙이 다시 섞이는 과정.

3. 유문 괄약근(Pyloric Sphincter)의 조절에 의한 배출

3. 유문 괄약근(Pyloric Sphincter)의 조절에 의한 배출
유문 괄약근은 십이지장으로 미즙을 서서히 배출하며, 십이지장의 상태(산도, 압력, 음식물 크기)에 따라 열리고 닫힙니다.
주요 조절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크레틴(Secretin): 십이지장의 산도를 낮추기 위해 중탄산염 분비를 촉진하고, 위산 분비
억제.
콜레시스토키닌(CCK): 지방 소화를 위해 담즙 분비 유도 및 위 배출 속도 감소.
미주신경(Vagus nerve): 부교감 신경 경로로 연동 운동과 괄약근 개폐를 조절.

4. 점액(Mucous) 분비와 십이지장에서의 중화

4. 점액(Mucous) 분비와 십이지장에서의 중화
위벽의 점막세포에서 분비된 점액은 위벽을 염산과 펩신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점액은 중탄산염(HCO₃⁻)을 포함해 위 점막 표면의 pH를 중성으로 유지합니다.
십이지장에서 췌장에서 분비된 중탄산염이 미즙의 산도를 중화하며, 이 과정은 세크레틴에 의해 조절됩니다. 중화가 불완전할 경우, 십이지장 점막 손상 및 궤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소화 호르몬의 역할

가스트린(Gastrin)

역할: 위산(HCl) 분비 증가, 펩시노겐(Pepsinogen) 분비 촉진, 위 운동성 증가.
분비되는 곳: 위의 G 세포.
위의 팽창, 소화되지 않은 단백질활성화
pH 4 이하의 산성 환경,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에 의해 억제됨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역할: 담낭 수축, 위 배출 속도 감소, 췌장액 분비 촉진.
분비되는 곳 : 소장의 I 세포.
십이지장에서 음식물의 중화를 도움.

세크레틴(Secretin)

역할: 위산 분비 억제, 췌장의 중화작용 지원.
분비되는 곳: 십이지장과 공장의 S 세포.

위 억제 폴리펩티드(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GIP)

역할: 위산 분비 및 운동 억제.
분비되는 곳: 십이지장과 공장의 K 세포.

엔테로글루카곤(Enteroglucagon)

역할: 위산과 운동성 억제.
분비 반응: 아직 흡수되지 않은 음식물이 간, 담낭에 도달했을 때 활성화.

Re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