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혈(Ischemia)과 경색(Infarction)은 조직의 혈류 공급이 감소하거나 차단되어 조직 손상이나 괴사가 발생하는 병리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1. 허혈 (Ischemia)
허혈은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산소와 영양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국소적 혹은 전신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조직 괴사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Kidney blood circulation in norm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By Natalia0812 – Own work,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33001004① 허혈의 원인
| 혈관 협착 (Vascular Stenosis) |
|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등으로 혈관이 좁아져 혈류 공급이 감소함. |
| 혈전 및 색전 (Thrombosis & Embolism) |
| 혈관 내 혈전(Thrombus)이나 색전(Embolus)이 혈류를 차단하여 허혈을 유발. |
| 혈압 저하 (Hypotension) |
| 쇼크(Shock) 상태에서 혈압이 저하되면서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 |
| 혈관 경련 (Vasospasm) |
| 갑작스러운 혈관 수축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혈류 공급이 차단됨 (예: 프린츠메탈 협심증). |
② 허혈의 기전
| 1. 산소 공급 감소 |
| 혈액을 통한 산소 전달이 감소하면서 조직이 저산소 상태(Hypoxia)에 빠짐. |
| 2. 대사 장애 |
| 산소가 부족해지면 ATP 생성이 감소하고, 혐기성 해당과정이 증가하면서 젖산 축적. |
| 3. 세포 손상 |
| 장기적인 허혈은 세포막 손상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를 초래하며, 결국 세포 사멸(Apoptosis 또는 Necrosis) 유발. |
③ 허혈의 유형
| 국소 허혈 (Localized Ischemia) |
특정 부위에서 혈류가 차단되는 경우 (예: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심근 허혈). |
| 전신 허혈 (Systemic) |
전신적으로 혈압이 낮아져 다발성 장기에 허혈이 발생하는 경우 (예: 쇼크). |
2. 경색 (Infarction)
경색은 허혈이 지속되어 조직이 괴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조직이 혈액 공급을 완전히 받지 못하면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합니다.
MI Image by Servier Medical Arts , Licensed Under CC BY 4.0, https://smart.servier.com/① 경색의 원인
| 혈전 (Thrombosis) |
| 혈관 내 혈전 형성으로 인해 혈류가 차단됨 (예: 심근경색, 뇌경색). |
| 색전 (Embolism) |
| 혈액 내 떠다니는 색전(지방 색전, 공기 색전 등)이 혈관을 막아 경색 유발. |
| 혈관 파열 (Vascular Rupture) |
| 동맥류(Aneurysm) 파열 시 해당 부위의 혈류가 차단되어 경색 발생. |
| 압박 (Compression) |
| 종양, 부종, 혈종 등에 의해 혈관이 눌려 혈류가 차단됨. |
② 경색의 유형
| 백색 경색 (White Infarction) |
| 혈관 분포가 적은 조직(심장, 신장, 비장)에서 동맥이 차단되어 발생하며, 조직이 창백한 색을 띰. |
| 적색 경색 (Red Infarction) |
| 이중 혈류를 가진 장기(폐, 간, 소장)나 정맥 폐색이 있는 경우 발생하며, 출혈이 동반되어 붉은 색을 띰. |
③ 경색의 진행 과정
| 1. 초기 허혈 손상 |
| 혈류 차단 후 몇 분 내로 세포 기능이 저하되며 ATP 생성이 감소함. |
| 2. 세포 괴사 |
| 지속적인 허혈로 인해 미토콘드리아 손상, 세포막 붕괴가 발생하며 괴사가 진행됨. |
| 3. 염증 반응 |
| 괴사된 조직 주변으로 염증 세포가 침윤하여 손상 부위를 정리함. |
| 4. 섬유화 및 반흔 형성 |
| 장기적으로 괴사된 조직이 제거된 후 섬유화(Fibrosis)와 반흔(Scar)이 형성됨. |
3. 허혈과 경색의 비교
| 구분 | 허혈 (Ischemia) | 경색 (Infarction) |
| 원인 | 혈류 감소로 인한 산소 공급 저하 | 허혈이 지속되어 조직 괴사 발생 |
| 가역성 | 일정 시간 내 회복 가능 | 비가역적 조직 손상 |
| 임상적 예시 | 협심증, 일과성 허혈 발작 | 심근경색, 뇌경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