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간낭종 (Hepatic Cyst)
간낭종(Hepatic cyst)은 간 실질 내에 액체가 고여 생긴 낭성 병변으로, 대부분은 양성이며 무증상입니다.
간 실질 안에 액체가 고여 생긴 주머니 형태의 병변으로, 대부분 우연히 발견되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낭종 (Hepatic Cyst) |
🟦 대부분은 선천적 원인으로 생기며, 간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원인
선천성 원인, 감염성 원인 또는 기생충성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
🔴 선천성 낭종(Congenital cyst) |
간내 담관이 퇴화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남아 낭종을 형성합니다. |
🔴 감염성 낭종(Infectious cyst) |
간농양이나 간염 등의 감염 이후 이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
🔴 기생충성 낭종(Hydatid cyst) |
개·양 등 가축을 매개로 하는 에키노코쿠스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Hydatid cyst라고 합니다. |
🔴 다낭성 간 질환(Polycystic liver disease) |
유전 질환으로, 다수의 낭종이 간 전체에 걸쳐 존재합니다. |
Cyst의 감별 질환들
- Hepatic cyst: 흔한 양성 낭종. 대부분 치료 불필요.
- Hydatid cyst: 기생충이 원인. 파열 시 위험. 반드시 치료.
- Cystadenoma: 종양성 병변, 악성화 가능. 조기 절제 필요.
항목 | Hepatic Cyst (단순 간낭종) | Hydatid Cyst (포충낭종) | Cystadenoma (낭선종) |
---|---|---|---|
정의 | 간 내 발생하는 양성의 단순 낭종 | Echinococcus granulosu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성 낭종 | 점액성 상피로 덮인 선종성 낭종으로 종양의 일종 |
원인 | 선천성(담관 형성 이상), 대부분 비감염성 | 기생충 감염 (포충증) | 신생물(종양), 점액성 선종 |
벽 구조 | 얇고 내면은 평탄 | 외막(pericyst), 중간막(laminated membrane), 내막(germinal layer)로 구성 | 비교적 두껍고 내벽에 상피세포 존재, 격벽 있음 |
내용물 | 맑은 액체, 담즙 없음 | 다량의 수액, daughter cyst 존재 | 점액성 액체, 고형 성분 가능 |
초음파/CT 소견 | 얇은 벽, 균일한 저음영, 석회화 없음 | 내부에 multiple daughter cysts, 석회화 흔함 | 다방성(multiloculated), 격벽 존재, 벽이 두꺼움 |
합병증 | 드묾. 드물게 감염이나 출혈 | 파열, 감염, 아나필락시스 위험 | 악성화 가능성 있음 (→ cystadenocarcinoma) |
진단 | 영상 검사 (초음파, CT)로 충분 | 혈청 항체 검사 + 영상 (CT/MRI) | 영상 검사 + 조직학적 검사 필요 |
치료 | 증상 없으면 관찰, 큰 경우 배액 | 항기생충제(Albendazole) + 수술(PAIRS, 외과적 제거) | 수술적 절제 (완전 절제 필요) |
치료 목적 | 증상 완화 | 감염 제거 및 합병증 예방 | 악성화 예방 및 제거 |
임상양상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낭종이 크거나 합병증이 동반되면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윗배의 불편감, 팽만감, 압통 등을 호소할 수 있으며 드물게 통증이나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및 징후 |
🟨 우상복부 불편감 |
간낭종이 커지면 인접 장기를 압박하여 불쾌감이 생깁니다. |
🟨 복부 팽만 |
낭종의 부피가 커지면서 복부가 팽창되는 느낌이 발생합니다. |
🟨 복통 또는 압통 |
낭종이 출혈하거나 염증이 동반된 경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황달 |
드물게 낭종이 담도를 압박할 경우 황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진단
복부 초음파로 보고, CT나 MRI로 병변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 |
🔵 복부 초음파(Abdominal ultrasound) |
내벽이 얇고 균질한 낭성 병변으로 확인됩니다. |
🔵 복부 CT 또는 MRI |
낭종의 크기, 위치, 출혈 여부, 고형 성분 유무 등을 평가합니다. |
🔵 혈청 검사(Serology) |
기생충성 낭종 의심 시 항체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영상 소견 비교
질환명 | 초음파 소견 | 감별 포인트 |
---|---|---|
Hepatic cyst (단순 간낭종) | – Anechoic (무반향) –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후방 음향 증강) – 얇은 벽 – 내부 격벽 없음 | 맑은 물처럼 깨끗한 내부, 얇은 벽, 명확한 후방 음향 증강 → 전형적인 단순 낭종 |
Hydatid cyst (포충낭종) | – Multiloculated (다방성) – Floating membranes (water lily sign) – “Daughter cysts” (소낭들) – 석회화 반사 가능 – Internal echoes (내부 반향 있음) | 내부에 소낭(daughter cyst) 또는 막 구조 보이면 강하게 의심. 고에코의 석회화와 함께 나타남 |
Cystadenoma (낭선종) | – Multiloculated (다방성), 내부 격벽 – 벽 두껍고 불균일 – 내부 점액성 반사 (low-level internal echoes) – Doppler에서 혈류 있을 수 있음 | 격벽 있고 벽이 두꺼우며, 점액처럼 탁한 내부 반향이 보이고 혈류(vascularity) 보이면 낭선종 가능성 ↑ |


Foladi N, Hepatic hydatid cyst.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02 May 2025) https://doi.org/10.53347/rID-73141

Ashraf A, Biliary cystadenoma. Case study, Radiopaedia.org (Accessed on 02 May 2025) https://doi.org/10.53347/rID-91658
- Cystadenoma (낭선종)은 Hepatic cyst와 달리 조직검사, 수술이 필요합니다.
진단 기준
초음파나 CT에서 내벽이 얇고 균일한 저음영 병변으로 확인되며, 출혈·감염·고형 변화가 없을 경우 단순 간낭종으로 진단합니다.
치료
무증상 낭종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거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치료를 진행합니다.
단순 낭종은 경과 관찰이 원칙이나, 감염·출혈·압박 증상이 있는 경우 천자배액 또는 수술적 제거를 시행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단순 낭종이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시행합니다.
보존적 또는 비침습 치료 |
🔵 경과 관찰 |
무증상인 경우 정기적인 영상검사로 추적 관찰합니다. |
🔵 낭종 천자 및 경화요법 |
낭종 내 액체를 제거하고 경화제를 주입하여 재발을 방지합니다. |
수술 치료
감염이나 출혈, 낭종 재발이 반복되거나 낭종이 매우 클 경우 수술을 고려합니다.
수술적 치료 |
🔷 개복 또는 복강경을 통한 낭종 절제술 |
낭종 벽을 제거하여 낭종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
🔷 기생충성 낭종 제거술 |
에키노코쿠스 감염 시 낭종을 제거하고 항기생충 약물 병용이 필요합니다. |
약물 치료 (기생충성 낭종 한정)
기생충성 낭종에서는 항기생충 약제를 병용합니다.
약물 치료 |
💊 알벤다졸(Albendazole) |
에키노코쿠스 감염에 효과적인 항기생충제로, 낭종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
예후
단순 간낭종은 예후가 매우 좋으며, 증상 없을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후 |
✅ 무증상인 경우 대부분 생애 동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 수술적 치료 후 재발률은 낮고, 경과도 양호합니다. |
생활 관리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생활 관리가 필요하지 않지만, 낭종 크기 변화 여부를 정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관리 수칙 |
🟨 정기적 영상검사 |
낭종의 크기나 내부 구조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초음파나 CT 검사를 시행합니다. |
🟨 복부 통증 지속 시 병원 방문 |
낭종 출혈 또는 감염 가능성이 있어 즉시 검사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