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심장의 전기 전도 (Heart Conduction System)

심장은 스스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하여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조절합니다. 이를 담당하는 구조를 ‘심장 전도계(Heart conduction system)’라고 하며, 신호의 흐름은 특정 경로를 따라 진행됩니다.
심장의 전기 전도 (Heart Conduction System)
: 전기 자극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경로를 통해 심장 전체의 수축 순서를 조절하는 생리적 과정입니다.
- 심장이 스스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내고, 이를 정해진 경로를 따라 전달하면서 규칙적으로 뛰게 해주며
- 이 전도 시스템 덕분에 심장은 위에서 아래로, 심방에서 심실로 효율적인 수축을 할 수 있습니다.
| 정의(Definition) |
| 🟧 심장의 SA node는 전기 신호를 자발적으로 만들어내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Pacemaker) |
| 🟧 이 신호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심장 전체로 전달되며, 각 부위가 순서대로 수축하게 만듭니다. |
| 🟧 이 과정을 통해 혈액을 몸 전체로 효과적으로 내보낼 수 있게 됩니다. |
전기 자극의 흐름
심장의 전기 자극은 일정한 순서로 전달되어야 심장이 정상적으로 수축합니다.
| 전도 순서(Heart Conduction Pathway) |
| 1️⃣ 처음 전기 자극은 심방의 SA node(동방결절)에서 시작됩니다. |
| 2️⃣ 그 다음, 자극은 AV node(방실결절)로 전달되어 잠시 멈춥니다. |
| 3️⃣ 이후 His bundle(히스속)을 지나 좌우 Bundle branches(각속)로 퍼집니다. |
| 4️⃣ 마지막으로 Purkinje fibers(푸르킨예 섬유)를 통해 심실 전체로 자극이 전달됩니다. |
SA node -> AV node -> Bundle of His -> Rt & Lt. Bundle branches -> Purkinje Fibers





심장의 전기 전도 순서 (Heart Conduction System)
심장의 전기 전도에 관여하는 주요 구조는 각각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순서에 맞게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SA node (동방결절)
Sinoatrial node
Pacemaker , 전기 신호를 발생

심장의 전기 신호가 처음 발생하는 곳으로, 심장의 리듬을 조절합니다.
| SA node |
| 🟨 심장의 ‘Pacemaker(자연 조율기)’로, 1분에 약 60~100회의 전기 자극을 생성합니다. |
| 🟨 심방 수축을 유도하며, 심장의 리듬을 시작하는 지점입니다. |
2. AV node (방실결절)
Atrioventricular node
자극을 잠깐 멈추어 심방과 심실의 수축 타이밍을 조절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자극을 잠깐 멈추어 심방과 심실의 수축 타이밍을 조절합니다.
| AV node |
| 🟨 자극을 지연시켜 심방이 먼저 수축하고, 이후에 심실이 수축하도록 돕습니다. |
| 🟨 전기 자극의 흐름을 조절해 혈액이 심실로 충분히 차도록 유도합니다. |
3. His bundle (히스속)
전기 신호를 좌/우 심실로 나누어 전달하는 분지

방실결절에서 나온 자극이 심실로 내려가는 길목입니다. 전기 신호를 좌우심실로 나누어 전달합니다.
| His bundle |
| 🟧 전기 신호를 좌우 심실로 나누는 출발 지점 역할을 합니다. |
4. Bundle branches (각속)
His bundle에서 신호를 각각 좌심실/ 우심실로 자극을 나눔

His bundle에서 갈라져 나와 각각 좌심실과 우심실로 자극을 보냅니다.
| Bundle branches |
| 🟦 좌심실과 우심실에 전기 자극을 빠르게 전달합니다. |
| 🟦 심실 벽 전체로 신호가 퍼지도록 도와줍니다. |
5. Purkinje fibers (푸르킨예 섬유)
심실 끝까지 자극을 전달해 심실 전체를 강하게 수축시킴

심실 끝까지 자극을 전달해 심실 전체가 빠르게 동시에 수축하게 만듭니다.
| Purkinje fibers |
| 🟨 심실 근육 깊숙한 곳까지 신호를 전달해 강한 수축을 일으킵니다. |
| 🟨 이 과정을 통해 심장에서 혈액이 강하게 몸으로 뿜어져 나갑니다. |
임상적 의의
이 전도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질 수 있으며, 부정맥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임상 관련(Clinical relevance) |
| 🟥 SA node 기능이 떨어지면 서맥(느린 맥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 AV node가 차단되면 AV block(방실차단)으로 자극 전달이 안 되기도 합니다. |
| 🟥 Purkinje fibers에 이상이 생기면 심실성 부정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Resource
- Cardiac conduction System Image by Servier Medical Art , Licensed under CC BY 4.0 (https://smart.servi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