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람 염색으로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합니다.
그람 염색법(Gram staining)은 세균을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 |
(1)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이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인해 보라색으로 염색됩니다. |
(2) 그람음성균은 얇은 펩티도글리칸과 외막 구조로 인해 분홍색으로 염색됩니다. |
세포벽 구조 비교
그람 양성 :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
그람 음성 :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 + 외막
By Malihe Mehdizadeh Allaf and Hassan Peerhossaini – [1]doi:10.3390/microorganisms10040696,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23424232그람양성균 (Gram-Positive Bacteria)
두꺼운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층으로 구성된 세포벽. |
펩티도글리칸 층이 두꺼워 염색액을 유지하여 보라색으로 염색됨. |
테이코산(Teichoic acid)과 리포테이코산(Lipoteichoic acid)을 포함하여 세포벽 안정성과 항원성을 제공. |
그람음성균 (Gram-Negative Bacteria)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과 외막(Outer membrane)으로 구성. |
외막에는 리포다당(Lipopolysaccharide, LPS)이 포함되어 숙주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음. |
세포벽 구조가 복잡하여 항생제 투과를 어렵게 만듦. |
염색 결과
왼쪽이 그람 양성 구균 / 오른쪽이 그람 음성 간균입니다.
By Mikael Häggström, M.D. Author info- Reusing images- Conflicts of interest:NoneMikael Häggström, M.D. – Own work, CC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39041868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대표적인 세균 예시
그람양성균 예시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피부 감염, 폐렴, 독소 쇼크 증후군. |
Streptococcus pyogenes (화농성연쇄상구균): 인두염, 류마티스열. |
Streptococcus pneumoniae (폐렴구균): 폐렴, 수막염. |
Bacillus anthracis (탄저균): 탄저병. |
Clostridium difficile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항생제 관련 설사. |
Clostridium botulinum (보툴리눔균): 보툴리눔 독소증. |
Listeria monocytogenes (리스테리아균): 리스테리아증, 신생아 수막염. |
그람음성균 예시
Escherichia coli (대장균): 요로 감염, 장염. |
Pseudomonas aeruginosa (녹농균): 화상 감염, 폐 감염. |
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위염, 소화성 궤양. |
Neisseria meningitidis (수막염균): 세균성 수막염. |
Neisseria gonorrhoeae (임균): 임질. |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장티푸스. |
Vibrio cholerae (콜레라균): 콜레라. |
Bordetella pertussis (백일해균): 백일해. |
항생제 감수성의 차이
세포벽을 타겟하는 항생제 위주로 차이를 보임.
그람 염색법은 감염의 원인균을 빠르게 구분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람양성균은 세포벽 억제 항생제가 주로 사용되며, 그람음성균은 외막을 고려한 광범위 항생제가 필요합니다.
그람양성균에 효과적인 항생제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예: 페니실린, 반코마이신)가 효과적. |
그람음성균에 효과적인 항생제
외막으로 인해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 |
광범위 항생제(예: 카바페넴, 퀴놀론)가 필요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