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환 병리학 중 부종 (Edema)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부종 (Edema)
부종은 혈관에서 조직 간질(interstitial space)로 체액이 과도하게 이동하여 축적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부종은 다양한 병리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 증가, 혈장 삼투압(Oncotic Pressure) 감소, 혈관 투과성 증가, 림프 배출 장애 등의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By James Heilman, MD – Own work,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1787530
부종의 발생 기전
부종은 정상적인 체액 균형이 깨질 때 발생하며, 주요 병리적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정수압 증가 (Increased Hydrostatic Pressure)
정수압 (혈액이 혈관을 빠져나가려는 힘)이 증가
정수압은 혈관 내 혈액이 혈관벽을 통해 간질로 밀려나가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정수압이 증가하면 혈액이 혈관에서 간질로 빠져나가 부종을 형성합니다.

|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
|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정맥 울혈이 발생하고, 혈액이 말초 정맥에 정체되면서 정수압이 증가함. |
| 신부전 (Renal Failure) |
| 신장이 나트륨과 수분을 적절히 배출하지 못해 혈액량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혈관 내 압력이 상승하여 부종이 발생. |
| 간경변 (Liver Cirrhosis) |
| 문맥압(Portal Hypertension)이 증가하여 복강 내 체액이 축적(복수, ascites)됨. |
| 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DVT) |
| 혈전이 정맥을 막아 혈액 흐름을 방해하고 정수압을 증가시켜 국소 부종을 유발. |
② 혈장 삼투압 감소 (Decreased Plasma Oncotic Pressure)
주로 알부민의 감소로 삼투압이 낮아져 혈액이 빠져나감
혈장 삼투압은 혈액 내 단백질(주로 알부민)에 의해 형성되며, 혈관 내로 체액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혈장 삼투압이 감소하면 혈액이 혈관에서 빠져나가 간질에 축적됩니다.

Osmosis By OpenStax – https://cnx.org/contents/FPtK1zmh@8.25:fEI3C8Ot@10/Preface, CC BY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30131189
| 저알부민혈증 (Hypoalbuminemia) |
| 혈액 내 알부민 감소로 인해 혈장 삼투압이 저하되어 체액이 혈관을 빠져나가 조직에 축적됨. |
| 신증후군 (Nephrotic Syndrome) |
| 신장이 손상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가면서 저알부민혈증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부종이 유발됨. |
| 간부전 (Liver Failure) |
| 간에서 알부민 합성이 감소하여 혈장 삼투압이 저하되면서 부종 발생. |
| 영양결핍 (Malnutrition) |
|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인해 혈장 단백질 합성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혈장 삼투압이 저하되어 부종이 발생. |
③ 혈관 투과성 증가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모세혈관벽의 손상으로 투과성 증가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손상으로 인해 혈액 내 성분이 조직 간질로 빠져나가면서 부종이 발생합니다.

| 염증 반응 (Inflammation) |
| 염증 매개 물질(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등)이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장 성분이 간질로 이동. |
| 패혈증 (Sepsis) |
|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체액이 혈관 밖으로 유출됨. |
| 알레르기 반응 (Allergic Reaction) |
| 히스타민 분비로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급성 부종(혈관 부종, angioedema) 발생. |
| 외상 (Trauma) |
| 조직 손상으로 인한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체액 유출. |
④ 림프 배출 장애 (Lymphatic Obstruction)
림프간이 막혀 체액이 잘 배출되지 못함.
림프관이 막히거나 손상되면 조직 내 체액이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부종이 발생합니다.
| 암 (Cancer) |
| 종양이 림프관을 압박하거나 침범하여 림프 배출이 차단됨. |
| 림프절 절제술 (Lymph Node Dissection) |
| 암 치료를 위해 림프절을 제거하면 해당 부위의 림프 배출이 저하되어 부종이 발생. |
| 감염 (Filariasis, Elephantiasis) |
| 사상충증(Filariasis)과 같은 기생충 감염이 림프관을 막아 림프부종 발생. |

부종과 질환
부종은 단순한 체액 축적이 아니라 기저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장기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폐부종 (Pulmonary Edema) |
| 좌심부전으로 인해 폐포 내 체액 축적으로 호흡곤란 발생. |
| 뇌부종 (Cerebral Edema) |
| 외상, 감염, 뇌졸중 등으로 인해 뇌압 상승 및 신경 손상. |
| 복수 (Ascites) |
| 간경변 등으로 인해 복강 내 체액이 과도하게 축적됨. |
정리
부종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부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