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rug Metabolism : “약물 처리 공장”
체내에서 화학적으로 변환해 배출이 용이하게
약물 대사 (Drug Metabolism)
약물 대사(Drug Metabolism)는 약물이 체내에서 화학적으로 변환되어 배출 준비를 하는 과정입니다. 약물 대사는 약물의 화학적 구조를 변경해, 신체가 약물을 더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로 약물을 더 친수성(물에 잘 녹는 형태)으로 만들어 신장이나 담즙을 통해 배출이 용이하게 합니다.
간은 약물 대사의 중심 기관으로, 약물의 활성도를 변화시키거나 독성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약물 대사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며, 각각 약물의 처리 방식이 다릅니다.
그럼 약물 대사 (Drug Metabolism)에 대해 간략히만 정리해보겠습니다.
약물 대사(Drug Metabolism) 의 주요 단계
1상 반응 + 2상 반응
약물 대사는 1상 반응과 2상 반응이라는 두 가지 단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쉽게 말해, 1상 반응은 약물의 화학적 구조를 살짝 바꾸는 단계이고, 2상 반응은 약물에 추가적인 화학적 그룹을 붙여 더 수용성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1상 반응 (Phase I Reaction)
약물의 “첫 번째 정리 작업”으로,
약물이 배출되기 전 적당한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상 반응에서는 약물이 산화, 환원, 가수분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화학적으로 변환됩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극성을 증가시키고, 수용성을 높여 배출 준비를 합니다. 주로 시토크롬 P450(CYP450)이라는 효소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1상 반응의 유형 | 설명 |
산화 (Oxidation) | CYP450 효소가 산소를 사용하여 약물을 산화. 약물의 화학적 성질을 변경해 수용성을 높임. |
환원 (Reduction) |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약물이 환원 반응을 거쳐 대사됨. |
가수분해 (Hydrolysis) | 물 분자를 이용해 에스터 결합(Ester bond)나 아미드 결합(Amide bond)을 분해하여 약물의 구조를 단순화. |
2상 반응 (Phase II Reaction)
약물에 “꼬리표”를 붙이는 과정으로,
약물이 체내에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단계
2상 반응에서는 약물에 화학적 그룹이 첨가(포합)되어 더 수용성이 높은 형태로 변환됩니다. 이를 통해 약물이 신장이나 담즙을 통해 쉽게 배출됩니다. 특히 간에서 2상 반응이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2상 반응의 유형 | 설명 |
글루쿠로니다화 (Glucuronidation) | UDP-글루쿠론산과 결합하여 약물을 수용성으로 전환. 빌리루빈 포합 반응 등 가장 흔한 포합반응입니다 |
황산화 (Sulfation) | 황산기를 첨가하여 약물을 더 친수성으로 변환. |
아세틸화 (Acetylation) | 아세틸-CoA를 사용하여 약물을 변환. 유전적 차이에 따라 대사 속도가 달라질 수 있음. |
글루타티온 포합 (Glutathione Conjugation) | 글루타티온과 결합하여 독성 대사산물을 해독. |
약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약물 대사는 개인의 생리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요인들을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요인 | 설명 |
유전적 다형성 | CYP450 효소 유전자의 변이에 따라 약물 대사 속도가 달라질 수 있음. 예: CYP2D6 변이는 약물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대사. |
약물 간 상호작용 | 효소 유도제나 억제제가 다른 약물의 대사 속도에 영향을 미침. 예: 리팜핀은 CYP450을 유도하여 대사 촉진. |
연령 | 신생아와 노인의 간 대사 효소는 성인보다 활성이 낮아 약물 대사가 느림. |
간 기능 | 간 질환이 있으면 약물 대사 능력이 저하되어 약물이 체내에 더 오래 남을 수 있음. |
약물 대사의 임상적 중요성
약물 대사는 약물의 치료 효과와 독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대사 과정을 이해하면 약물 용량 조정, 투여 간격 설정, 약물 상호작용 관리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임상적 활용 | 설명 |
용량 조정 | 대사 속도에 따라 약물 용량을 조정. 대사가 느린 환자에게는 더 낮은 용량을 투여. |
약물 상호작용 관리 | 효소 유도제나 억제제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병용 약물을 선택. |
개인화된 약물 치료 | 유전적 검사로 대사 효소 상태를 평가하여 맞춤형 약물 치료 제공. |
약물 대사의 예
다양한 약물의 대사 과정을 몇 가지 예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약물 | 대사 단계 | 설명 |
파라세타몰 (Paracetamol) | 1상 및 2상 | 1상 반응에서 소량의 독성 대사산물(NAPQI) 생성, 2상 반응에서 글루쿠로니다화로 무독성화. |
코데인 (Codeine) | 1상 | CYP2D6에 의해 모르핀으로 대사되어 진통 효과를 발휘. |
이소니아지드 (Isoniazid) | 2상 | 아세틸화로 대사되며, 대사 속도는 유전적 변이에 따라 달라짐. |
Resource
- https://en.wikipedia.org/wiki/Drug_metabolism
- Drug metabolism in Liver By Drriad – Own work,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800903
- Phases I and II of the metabolism of a lipophilic xenobiotic. By TimVickers – Own work,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4549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