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당류 (Disaccharides) 이당류(Disaccharides) 는 두 개의 단당류(monosaccharides)가 글리코시드 결합(glycosidic bond) 으로 연결된 탄수화물입니다. 가수분해 시 단당류 2분자로 나뉘며, 대표적으로 유당(lactose), 자당(sucrose), 맥아당(maltose)이 있습니다.
이당류는 단당류 2분자가 축합반응으로 결합된 구조이며, 식이 탄수화물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당류(Disaccharides) 🟧 두 개의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된 탄수화물로, 소장에서 해당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흡수됩니다.
대표 종류 이당류는 결합된 단당류의 종류와 결합 방식에 따라 구분됩니다.
Bagalay, Demeiape. (2021). Carbohydrates. 자당(Sucrose) 🟧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이 α1→β2 결합으로 연결됨. 일반 설탕의 주성분이며, 소화 효소는 수크레이스(sucrase)입니다.
맥아당(Maltose) 🟧 포도당 2분자가 α1→4 결합으로 연결됨. 녹말(starch)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며, maltase에 의해 분해됩니다.
유당(Lactose) 🟧 포도당과 갈락토오스가 β1→4 결합으로 연결됨. 우유에 존재하며, 락타아제(lactase)에 의해 분해됩니다.
자당/ 서당 (Sucrose) 자당은 식물에서 광합성 산물로 합성되어 저장되는 주요 당이며, 일반 설탕의 주성분입니다.
Bagalay, Demeiape. (2021). Carbohydrates. 구성 단당류 🟧 포도당(glucose) + 과당(fructose)
결합 방식 🟧 α1→β2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두 단당이 서로 환원말단 없이 연결됨
생리적 기능 ✅ 식이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빠르게 소화되어 혈당 및 인슐린 분비를 자극함
맥아당/엿당 (Maltose) 맥아당은 녹말이나 글리코겐이 소화되며 생성되는 중간 산물로, 소화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당류입니다.
Bagalay, Demeiape. (2021). Carbohydrates. 구성 단당류 🟧 포도당(glucose) + 포도당(glucose)
생리적 기능 ✅ 전분 분해의 중간 산물로, 신속한 포도당 공급원 역할을 하며, 혈당 항상성에 기여
유당/젖당 (Lactose) 유당은 젖당이라고도 하며, 포유류의 젖에 포함되어 신생아 영양에 매우 중요합니다.
Bagalay, Demeiape. (2021). Carbohydrates. 구성 단당류 🟧 포도당(glucose) + 갈락토오스(galactose)
생리적 기능 ✅ 유아기 영양에 꼭 필요한 당으로, 갈락토오스는 뇌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당류의 기능 이당류는 단순한 에너지원 역할 외에도 소화 생리, 대사 조절, 유전적 질환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기능적 의미를 지닙니다.
✅ 즉각적인 에너지원 역할 자당(sucrose)과 맥아당(maltose)은 소장에서 빠르게 단당류로 분해되어 흡수되며, 신속한 ATP 생성에 기여합니다.
✅소화 과정의 중간 생성물 전분(starch)과 글리코겐(glycogen)의 소화 도중 생성되는 맥아당은 장내 탄수화물 대사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됩니다.
✅ 장내 효소 기능 평가 지표 이당류는 각각 고유의 분해효소(예: Lactase, Sucrase 등)에 의해 분해되므로, 특정 이당류 섭취 시 증상 유무는 해당 효소 결핍 여부를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
✅ 유전 질환의 진단 단서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이나 CSID(선천성 수크레이스-이소말타아제 결핍증)는 특정 이당류를 소화하지 못하는 임상 증상으로 진단의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 식이 조절 및 영양 전략 에서의 선택 이당류의 섭취는 혈당 상승 속도(GI)에 영향을 주므로 적절히 골라야 함.
분해 효소 이당류는 각각의 특이적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흡수 가능한 단당류로 분리됩니다.
이당류 분해 효소(Disaccharidases) 🟧 Sucrase -> Sucrose 분해 🟧 Maltase -> Maltose 분해 🟧 Lactase -> Lactose 분해 Sucrase, Maltase, Lactase 등이 소장 상피세포의 Brush Border에 존재하며, 이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합니다.
임상적 관련성 이당류 소화에 관여하는 효소 결핍은 여러 위장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정 효소가 결핍되면 해당 이당류가 분해되지 않고 장 내에 남아 삼투성 설사와 가스를 유발합니다.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 🟥 Lactase 결핍으로 유당이 분해되지 않아 복부 팽만,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아시아 인종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선천성 Sucrase – Isomaltase 결핍(CSID) 🟥 Sucrase – Isomaltase 복합 효소의 유전적 결함으로 자당과 전분 분해 장애가 생겨 설사, 영양장애 등을 유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