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통계 vs 추론 통계 (Descriptive vs. Inferential Statistics)

기술 통계 : 데이터를 쉽게 정리, 요약

추론 통계 : 일부를 바탕으로 전체 데이터를 예측

통계는 크게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추론 통계(Inferential Statistics)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술 통계는 데이터를 쉽게 정리하고 요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추론 통계는 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체의 특징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술 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데이터를 보기 쉽게 정리

기술 통계는 수집된 데이터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시험 점수 평균을 구하거나 키의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기술 통계의 주요 개념

중심 경향 측도
(Central Tendency)
평균, 중앙값, 최빈값 등을 이용해 데이터의 중심을 파악합니다.
산포도 측도
(Dispersion)
데이터가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표준편차가 크면 데이터 값들이 평균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는 뜻입니다.
데이터 시각화막대그래프, 히스토그램, 등을 이용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추론 통계 (Inferential Statistics)

표본을 이용해 전체 데이터를 예측

추론 통계는 표본(전체 중 일부)을 이용해 전체 데이터의 특성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전국 1,000명의 혈압을 조사해 전체 인구의 평균 혈압을 추정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추론 통계의 주요 개념

가설 검정어떤 주장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이 약이 정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할 때 사용됩니다.
신뢰 구간표본을 기반으로 전체 모집단의 값을 추정할 때, 어느 정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 믿을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회귀 분석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운동량이 많을수록 체중이 줄어드는가?”를 연구할 때 사용됩니다.

기술 통계와 추론 통계의 비교

구분기술 통계추론 통계
목적데이터를 요약하고 정리표본을 이용해 전체를 예측
사용 데이터전체 데이터(모집단 또는 표본)일부 데이터(표본)
결과확실한 정보 제공확률적 추론 (오차 가능)
예시학생들의 평균 성적 계산, 키 분포 그래프 작성표본을 이용한 선거 여론조사, 신약의 효과 검증

정리

기술 통계는 데이터를 요약하고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론 통계는 일부 데이터를 이용해 전체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실제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하며, 특히 의학이나 과학 연구에서는 데이터 해석을 위해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Resource

BIOSTATISTICS, 의통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