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다룰 혈액 및 체액 순환 장애(Blood and Fluid Circulation Disorders)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보는 포스트를 작성해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혈액 및 체액 순환 장애(Blood and Fluid Circulation Disorders)
혈액 및 체액 순환 장애(Blood and Fluid Circulation Disorders)는 다양한 질환과 병리적 상태에서 발생하며, 부종(edema), 충혈(congestion), 출혈(hemorrhage), 혈전증(thrombosis), 색전증(embolism), 쇼크(shock) 등으로 나타납니다.
1. 부종 (Edema)
체액이 혈관에서 조직 간질로
부종은 혈관에서 조직 간질(interstitial space)로 체액이 과도하게 이동하여 축적되는 상태입니다.
① 부종의 원인
| 정수압 증가 | 정맥 혈류 정체 (울혈성 심부전, 간경변, 신부전) |
| 혈장 단백질 감소 | 저알부민혈증 (간부전, 신증후군, 영양결핍) |
| 림프 배출 장애 | 림프부종 (암, 감염, 수술 후 합병증) |
| 혈관 투과성 증가 | 염증 반응 (패혈증, 알레르기, 외상) |
② 부종의 종류
| 국소성 부종 | 특정 부위에서 발생 (예: 림프부종, 혈전으로 인한 부종) |
| 전신성 부종 | 전신적으로 체액 축적 (예: 울혈성 심부전, 신증후군) |
| 강압성 부종 (Pitting Edema) | 피부를 눌렀을 때 움푹 들어가며 서서히 회복 (심부전, 신장질환에서 흔함) |
2. 충혈 및 울혈 (Hyperemia & Congestion)
충혈과 울혈은 혈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로, 혈액이 조직에 과도하게 축적될 때 나타납니다.
① 충혈 (Hyperemia)
혈관 확장으로 인해 조직 내 혈액량 증가
| 정의 | 혈관 확장으로 인해 조직 내 혈액량 증가 |
| 원인 | 운동, 염증 반응, 신경계 조절 |
| 임상 특징 | 조직이 붉어짐 (예: 근육 운동 후 혈류 증가) |
② 울혈 (Congestion)
정맥 정체로 인해 혈액이 과도하게 축적
| 정의 | 정맥 정체로 인해 혈액이 과도하게 축적 |
| 급성 울혈 | ex. 급성 폐울혈 (좌심부전으로 폐에 혈액 축적) |
| 만성 울혈 | ex. 만성 간울혈 (우심부전으로 인한 간 비대 및 중심성 간경화 발생 가능) |
3. 출혈 (Hemorrhage)
혈액이 빠져나옴
출혈은 혈관이 손상되면서 혈액이 조직이나 체외로 빠져나오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① 출혈의 유형
| 점상 출혈 (Petechiae) | 1~2mm 크기의 작은 출혈로 혈소판 감소증에서 흔함 |
| 자반 (Purpura) | 3~10mm 크기의 출혈로 혈관염, 자반증에서 관찰됨 |
| 반상출혈 (Ecchymosis) | 1cm 이상의 큰 출혈로 멍(bruise)과 유사 |
| 출혈성 체액 축적 | – 혈흉(hemothorax), –혈복강(hemoperitoneum) – 뇌출혈 등 |
4. 혈전증 및 색전증 (Thrombosis & Embolism)
① 혈전증 (Thrombosis)
혈액이 과도하게 굳음
| 정의 | 혈액이 과도하게 굳어 생긴 피떡 |
| 원인 | Virchow’s triad (혈류 정체 + 내피 손상 + 과응고 상태) |
| 동맥 혈전 | ex. 심근경색(MI) – 관상동맥 |
| 정맥 혈전 | ex. 정맥 혈전(DVT) – 심부정맥 |
② 색전증 (Embolism)
혈류를 타고 날아와 혈관을 막음
| 정의 | 혈류를 타고 날아와 혈관을 막는 물질들로 , 폐색전증, 뇌경색, 장간막 허혈 유발 가능 |
| 혈전 색전 | 혈전(피떡)이 혈류를 타고 이동해 혈관을 막음 ex. 폐색전증 : DVT의 혈전이 폐 동맥 막음 |
| 지방 색전 | 주로 골절 후 지방 물질이 혈관을 막음 |
| 공기 색전 | 잠수병 등에서 공기방울이 혈관을 막음 |
| 양수 색전 | 출산시 양수가 모체의 혈관으로 날아가 혈류 순환 장애 유발 |
5. 쇼크 (Shock)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 감소
쇼크는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여 저산소증과 다발성 장기 부전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① 쇼크의 유형
| 저혈량성 쇼크 (Hypovolemic Shock) | 출혈, 심한 탈수로 인한 혈액량 감소 |
| 심인성 쇼크 (Cardiogenic Shock) | 심근경색, 부정맥, 심장 압전 등으로 심박출량 감소 |
| 패혈성 쇼크 (Septic Shock) | 세균 감염에 의한 전신 염증 반응 |
| 신경성 쇼크 (Neurogenic Shock) | 외상이나 척수 손상으로 인해 혈관 확장 |
| 아나필락시스 쇼크 (Anaphylactic Shock) |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전신 혈관 확장 |
정리
혈액 및 체액 순환 장애(Blood and Fluid Circulation Disorders)은 심각한 생리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각 Circulation Disorder 질환의 원인과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각각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