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데이터 분포의 중심을 보여주는 값
자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값
중심 경향치 (Central Tendency)
중심 경향치(Central Tendency)는 데이터의 대표적인 값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주어진 자료에서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평균(Mean), 중앙값(Median), 최빈값(Mode)이 중심 경향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평균 (Mean)
모든 값을 더한 후 전체 개수로 나눔.
평균은 데이터의 모든 값을 더한 후, 데이터 개수로 나눈 값입니다. 데이터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 대표값으로 적절하지만, 극단값(아웃라이어, Outlier)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 값을 더한 후, 전체 개수로 나눈 값. |
산술 평균(Arithmetic Mean): 평균 = (모든 데이터의 합) ÷ (데이터 개수) |
예시
학생 5명의 시험 점수: 70, 80, 90, 85, 95 |
-> 평균 = (70 + 80 + 90 + 85 + 95) ÷ 5 = 84 |
직원 5명의 월급(단위: 만원): 300, 320, 280, 500, 290 |
-> 평균 = (300 + 320 + 280 + 500 + 290) ÷ 5 = 338 |
중앙값 (Median)
크기 순 정렬 시 한 가운데 위치한 값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한가운데 위치한 값입니다. 평균과 달리 극단값)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크기 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값. |
– 데이터 개수가 홀수일 때: 한가운데 값이 중앙값. |
– 데이터 개수가 짝수일 때: 가운데 두 값의 평균이 중앙값. |
예시
학생 5명의 시험 점수: 70, 80, 85, 90, 95 정렬 후: 70, 80, 85, 90, 95 중앙값 = 85 |
직원 6명의 월급(단위: 만원): 250, 270, 300, 320, 500, 600 정렬 후: 250, 270, 300, 320, 500, 600 중앙값 = (300 + 320) ÷ 2 = 310 |
최빈값 (Mode)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최빈값은 데이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을 의미합니다. 평균과 중앙값과 달리, 최빈값은 한 개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에서 최빈값이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데이터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값. |
최빈값이 하나만 있는 경우: 단일 최빈값 (Unimodal). |
최빈값이 여러 개 있는 경우: 다중 최빈값 (Multimodal). |
모든 값이 동일한 빈도로 나타날 경우: 최빈값 없음. |
예시
학생 6명의 시험 점수: 70, 80, 80, 90, 95, 100 최빈값 = 80 (가장 많이 등장한 값) |
학생 7명의 시험 점수: 60, 70, 70, 80, 90, 90, 100 최빈값 = 70, 90 (두 개의 최빈값이 있음, 다중 최빈값) |
중심 경향치 비교
구분 | 평균 | 중앙값 | 최빈값 |
계산 방식 | 모든 데이터를 더한 후 개수로 나눔 | 순서대로 정렬한 후 가운데 값 | 가장 자주 등장하는 값 |
극단값에 의한 영향 | 큰 영향 받음 | 거의 영향 없음 | 영향 없음 |
사용 예시 | 평균 소득, 평균 점수 | 중위 소득, 주택 가격 분석 | 가장 인기 있는 제품, 소비자 선호도 |
정리
평균, 중앙값, 최빈값은 데이터의 중심을 표현하는 방법이지만,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다릅니다. 평균은 전체적인 경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극단값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앙값은 극단값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소득 분포나 주택 가격과 같은 자료 분석에 유용합니다. 최빈값은 가장 자주 등장하는 값을 찾을 때 사용되며, 제품 선호도 조사 등에서 활용됩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중심 경향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source
-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8B%AC%EA%B2%BD%ED%96%A5%EC%B9%98
- Central Tendency By Pk0001 – 자작,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82179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