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chitis

기관지염 (Bronchitis)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기관지염 (Bronchitis)

질환의 정의
기관지염(Bronchitis) 은 기관지 점막의 염증으로 인해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급성 기관지염은 대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며, 만성 기관지염은 장기간 흡연이나 대기 오염에 노출된 결과로 발생합니다. 만성 기관지염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간주됩니다.

원인/위험 요인

급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 (예: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세균 감염 (예: Haemophilus influenzae, Streptococcus pneumoniae).
흡연자 또는 기저질환 환자에서 더 흔히 발생.

만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흡연: 기관지 점막의 만성 염증을 유발.
대기 오염: 먼지, 화학물질 등 자극물에 반복적 노출.
직업적 노출: 석탄 채굴, 석면 작업 등.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

임상 양상

급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
기침: 대개 발작적이며, 지속 시간이 짧음.
가래: 점액성 또는 화농성.
발열: 일반적으로 경미하며,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음.
목의 이물감 또는 통증.

만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기침: 2년 이상 지속되고, 매년 3개월 이상 발생.
가래: 아침에 주로 발생하며, 점액성 또는 화농성.
호흡곤란: 진행성이며, 운동 시 악화됨.
흉부 압박감: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

진단/검사

임상적 진단

임상적 진단
환자의 증상 (기침, 가래, 호흡곤란)과 병력 (흡연, 환경 노출) 기반으로 진단.

흉부 X선

흉부 X선
합병증(폐렴, 폐농양)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

객담 배양

객담 배양
감염 원인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확인.

폐 기능 검사

폐 기능 검사
만성 기관지염의 경우, 폐쇄성 폐질환(COPD) 여부를 확인.

치료

급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
대증요법: 수분 섭취, 휴식. 항생제: 세균 감염 의심 시 (예: 아목시실린). 진해제: 기침 완화.

만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금연: 가장 중요한 치료. 기관지 확장제: 베타2 작용제, 항콜린제 사용. 흡입 스테로이드: 염증 완화 및 악화 방지. 산소 치료: 저산소혈증 환자에서.

예후

급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
대부분 경과 관찰로 호전되며 합병증은 드뭄.

만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금연 및 약물 치료로 진행을 늦출 수 있으나 완치는 어려움.

진료 시 주의사항

진료 시 주의사항
흡연력, 환경 노출 여부 반드시 확인.
급성에서 만성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적절한 관리 권고.
합병증 여부 확인(폐렴, COPD 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