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감염 개요

정의

세균 감염은 병원성 세균이 신체에 침입하여 염증 반응, 조직 손상, 독소 생성을 통해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상태입니다.
감염은 국소적으로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전신으로 퍼져 패혈증(Sepsis)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세균의 분류

형태에 따라

구균 (원형) , 간균 (막대형) , 나선균 (나선형)

구균(원형), 간균(막대형), 나선균(나선형)으로 분류됩니다.

염색 특성에 따라

세포벽 (+) : 그람 양성
세포벽 (-) : 그람 음성

그람 염색에 따라 세균을 그람 양성균(보라색)그람 음성균(분홍색)으로 구분합니다.
그람 염색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를 구분하며, 항생제 선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산소 요구도에 따라

호기성 : 생존에 산소가 필요
혐기성 : 산소 없이 생존할 수 있음

호기성(산소 필요)혐기성(산소 없이 생존)으로 나뉩니다.

주요 병원성 세균과 관련 질환

자주 등장하는 세균들 몇가지만 추려봤습니다.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 인두염, 폐렴, 류마티스열.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 피부 감염(농양), 폐렴, 독소 쇼크 증후군.
대장균 (E. coli)
: 요로 감염, 장염, 패혈증.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 pylori)
: 위염, 소화성 궤양.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 병원 내 감염, 면역 저하자의 감염 , 화상 부위 감염.

병리학적 특징

내독소 (Endotoxin)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에 존재 + 사멸 시 방출

내독소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리포다당(LPS) 구조물입니다.
세균이 사멸할 때 방출되며, 염증 반응과 발열, 패혈증을 유발합니다.

외독소 (Exotoxin)

세균이 살아있는 동안 방출

외독소는 세균이 살아있는 동안 분비하는 단백질 독소입니다
.외독소는 특정 조직이나 세포에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며,
대표적인 예시로 파상풍 독소(tetanus toxin)와 디프테리아 독소(diphtheria toxin)가 있습니다.

감염의 증상

국소 증상 + 전신 증상

국소 증상

감염 부위의 발열, 발적, 부종, 통증이 나타납니다.

전신 증상

고열, 오한, 피로, 식욕 감소와 같은 전신적인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임상적 진단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통해 초기 증상을 평가합니다.

검사실 진단

배양 검사: 감염 부위에서 균을 분리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평가합니다.
염색 검사: 그람 염색을 통해 세균의 염색 특성을 확인합니다.
혈액 검사: 백혈구 수치 상승 및 염증 지표(CRP, ESR)를 평가합니다.
영상 검사: 감염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X-ray 또는 초음파를 사용합니다.

치료

항생제 치료

원인균 + 항생제 감수성을 평가

세균 감염의 원인균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합니다.
– 그람 양성균: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등
– 그람 음성균: 퀴놀론, 카바페넴 등

지지적 치료

해열제 투여와 수액 공급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치료

농양 배농, 감염된 조직 제거 등 외과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후

치료가 늦어질 경우 패혈증이나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방

개인 위생

손 씻기와 상처 소독을 철저히 하여 감염 가능성을 줄입니다.

예방 접종

폐렴구균, 디프테리아, 백일해 등 백신 접종을 통해 감염을 예방합니다.

세균 감염의 개요에 대해서 아주 간략히 설명해봤습니다. 각각의 주제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