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기성(Aerobes)과 혐기성(Anaeroesc)
산소 요구도
산소 요구도는 세균이 생존과 증식을 위해 산소를 사용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호기성 세균(Aerobes), 혐기성 세균 (Anaerobes), 조건 혐기성 세균 (Facultative Anaerobes)으로 나뉩니다. 각 범주는 세균의 대사 활동과 에너지 생성 방식에 따라 구분합니다.
세균의 산소 요구도에 따른 분류
호기성 : 산소가 반드시 필요
혐기성 : 산소가 있으면 곤란함
조건적 혐기성 : 산소가 있을 땐 쓰고, 산소가 없을땐 다른거
1. 호기성 세균 (Aerobic bacteria)
호기성 세균은 생존과 증식에 산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산소를 이용하여 호기성 호흡(Aerobic Respiration)을 수행하며, ATP를 효율적으로 생성합니다. |
대표적인 호기성 세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결핵균) : 결핵을 유발. |
Pseudomonas aeruginosa (녹농균) : 화상 감염, 폐 감염. |
Bacillus subtilis (고초균) : 토양에서 발견되는 비병원성 세균. |
2. 혐기성 세균 (Anaerobic Bacteria)
혐기성 세균은 산소 없는 환경에서 생존하며, 산소가 있을 경우 세포 손상 또는 사멸할 수 있습니다. |
산소 대신 황산염(SO₄²⁻), 질산염(NO₃⁻) 등을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는 혐기성 호흡(Anaerobic Respiration)이나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
대표적인 혐기성 세균
Clostridium difficile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항생제 관련 설사. |
Clostridium botulinum (보툴리눔균): 보툴리눔 독소증. |
Bacteroides fragilis (박테로이데스 프라질리스): 장내 혐기성 세균. |
3. 조건 혐기성 세균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a)
조건혐기성 세균은 산소 유무와 관계없이 생존 및 증식이 가능합니다. |
산소가 있을 때는 호기성 호흡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ATP를 생성하며, |
산소가 없을 때는 발효 또는 혐기성 호흡으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
대표적인 통성 혐기성 세균
Escherichia coli (대장균): 요로 감염, 장염. |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피부 감염, 독소 쇼크 증후군. |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장티푸스. |
임상적 중요성
산소 요구도를 이해하는 것은 감염 원인균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Clostridium difficile과 같은 혐기성 세균 감염은 혐기성 환경에서 자주 발생하며, 특수한 배양 방법이 필요합니다. 또한, 조건 혐기성 세균은 다양한 환경에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항생제 선택에 신중함이 요구됩니다.